-Bloomberg-

[이미지 = utoimage]
- scattershot은 말 그대로 흩뿌리다는 뜻의 scatter와 발사라는 뜻의 shot이 합쳐진 단어로, ‘산탄’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approach는 접근법이라는 뜻이고요. scattershot approach ‘산탄 접근법’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산탄총은 총의 탄환이 여러 발, 광범위하게 나가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멀리서 한 발 한 발 표적에 정확히 꽂는 저격총과 완전히 반대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죠. 가까이서 여러 명에게 피해를 입히고자 하는 총입니다. 조준하지 않고 대강 쏘아서 무차별적으로 다치게 하겠다는 의도가 가득 담긴, 무시무시한 무기입니다.
- 애플은 이런 산탄총과 같은 방식으로 가상현실 헤드셋 시장에 접근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가상현실 헤드셋이라는 장비를 가지고 사용자를 정확히 조준하는 게 아니라 이 기능 저 기능 다 때려 넣고 ‘누군가는 사용하겠지’라고 희망하겠다는 겁니다.
- 이렇게 무차별적으로, 마구잡이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을 scattershot approach라고 합니다.
- 정보 보안 솔루션들이 scattershot approach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지적과, scattershot approach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요구가 요 근래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각기 다른 벤더와 브랜드에서 만든 보안 솔루션들을 이것 저것 설치하다 보니 네트워크에 걸리는 부하가 너무 커져서 하나의 통일된 ‘종합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건데, 시장의 요구가 이러다 보니 급하게 M&A를 진행해 이 기능 저 기능을 마구잡이로 짜깁기한 솔루션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 마구잡이로 이것 저것 완성도 낮게 짬뽕해 놓은 것을 영어권에서는 Frankenstein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