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하 K-DATA)은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인력 현황 등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조사(제127004호),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지난 18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데이터산업 영위 사업체 8,940개 중 표본 1,375개와 일반산업 영위 사업체 1만3,179개 중 표본 1,200개의 조사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우선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의 경우 2021년 확정치는 22.9조원으로 2020년(20.0조원) 대비 14.5%(2.9조원↑) 성장했으며, 2022년(E) 예상치는 25.1조원으로 조사됐다.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최근 3년간(2020~2022E) 연평균 성장률 11.9%를 나타내며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1년 확정 시장 규모 기준 업종별 성장률의 경우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부문(2020년 2.5조원→2021년 3.0조원)이 18.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다음 △데이터 판매 및 제공서비스업 부문(16.3%↑, 2020년 9.8조원→2021년 11.4조원)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부문(10.7%↑, 2020년 7.7조원→2021년 8.5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인력 현황의 경우 먼저 데이터 산업에 종사하는 총 인력은 40만6,457명으로, 이 중 데이터 직무 인력은 13만4,310명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이전 연도 대비 약 1.2만명 증가한 수치(총 인력, 데이터 직무 인력 모두 1.2만명 증가)며 데이터 산업 종사 인력이 데이터 직무 인력 위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데이터 직무(8개)는 데이터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컨설턴트, 데이터 아키텍트다.
아울러 2022년 우리나라 전(全) 산업 데이터 직무 인력은 이전 연도 대비 약 1.7만명 증가한 수치인 19만7,802명(이전 연도 대비 9.4%↑)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산업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에서도 이전 연도 대비 8.6% 규모의 데이터 직무 인력이 증가하는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인력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1차 데이터 산업진흥 기본계획’의 후속 조치(기업 지원, 인력 양성 등)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향후에도 데이터 생산·유통·활용으로 이어지는 데이터 생애 전 주기 활성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의미한 지표를 지속 개발해 조사·분석함으로써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2022년도 데이터산업현황조사의 구체적인 조사 결과를 담은 전체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