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례 사고에도 불구, 기준위반업체에게 안정성 확인 맡겨
▲ ‘05년 1월 용기 제조불량으로 충전 직후 용기파열 및 CNG버스 반파 ⓒ이명규 의원실
지경부가 CNG(천연가스) 용기 제조기준을 위반한 업체에게 안전성 확인을 맡겨 CNG 버스 사고 발생을 방치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나라당 이명규의원은 6일 지경부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고유가 극복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라고 권장하면서 정작 시민의 발 역할을 하고 있는 CNG버스 안전문제를 소홀히 해 시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경부는 4차례의 CGN용기 관련 사고가 있었음에도 불구, 위험한 CNG용기 7천여 개가 버스에 장착돼 운행되고 있어 언제 어디서 사고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지적이다.
특히 제조기준을 위반한 NK사에 안전성 확인까지 맡겨 4차사고(‘08.7.12)의 발생을 방치했으며, 문제가 발생하자 서둘러 회수, 파기했다고 비판했다.
더 큰 문제는 현재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안전상 문제가 있는 용기를 강제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고발생 2달이 넘었음에도 회수율이 27.3%(2,676개)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NG버스 보급 늘지만 안전에는 무관심
정부에서는 2002년 월드컵 개최국으로써 대기환경 개선목적으로 2000년부터 천연가스(CNG) 시내버스 보급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작년말 기준 CNG자동차는 CNG버스 1만5천97대, CNG 청소차 289대가 운행중에 있으며, 2010년까지 2만3천대의 CNG자동차가 보급될 예정이다.
▲ 파열된 용기의 잔해를 수거한 상태의 모습 ⓒ이명규 의원실
하지만 지난 2005년부터 총 4건의 CNG버스 용기관련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행 중인 CNG버스에 대한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오르기 시작했다. 따라서 CNG버스에 대한 근본적인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 특히 용기 파열시 발생하는 파편은 버스 탑승객뿐만 아니라 주변의 시민들의 생명까지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CNG용기 제조기준 및 안전검사기준 미흡 문제 제기
1차 CNG용기 사고의 직접 원인은 NK사가 열처리를 생략하여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의 제품은 안전검사를 통과하고 사용 승인까지 받았다.
1차사고(‘05.1.27) 당시 NK사 제품의 용기가 파열돼 사고조사를 벌인 결과, 제조사의 제조공정과정(열처리, 딥드로잉, 내시경검사, 초음파결함탐상 공정 등)에 문제가 드러났다. 하지만 문제는 사고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이, 처음부터 제조기준 및 검사기준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
하물며 지경부는 1차사고 당시 문제가 됐던 NK사 제품 해당 롯드 포함 제조불량 의심용기 4천805개만 회수, 파기했다.
즉, NK사가 제조한 나머지 CNG용기 9천808개에 대해 회수 및 파기를 하지 않고, 제조기준을 위반한 이 업체에게 오히려 안전성확인 후 사용하도록 조치했다는데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 주위 시민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는 CNG버스 용기 파열 잔해 ⓒ이명규 의원실
더불어 CNG용기의 경우, 파열시 제조 및 안전검사기준에 따라 파편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지만, 용기 사고에서 파편이 발생하고 있어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지경부는 CNG버스 4차사고(‘08.7.12)가 발생하자 서둘러 나머지의 27.3%인 2천676개 회수를 회수, 파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시민의 발 역할을 하는 CNG버스의 안전은 다른 무엇보다 우선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CNG버스로 인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문제가 있는 용기를 조속히 회수하여 시민의 불안을 해소해 줘야한다”고 당부했다.
[오병민 기자(boan4@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