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전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의 데이터 분석활용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역량진단이 오는 3월부터 기관별로 시행된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행정·공공기관의 데이터 활용역량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한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역량 진단지표’ 개발을 마치고 3월부터 공공 부문 전 기관에 배포·시행한다고 밝혔다. 각 기관은 진단지표에 따라 자체 진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활용해 기관 수준과 특성에 맞는 역량 강화 계획을 수립·시행하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데이터 기반 행정을 제대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기관별 데이터 분석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8월부터 전문가들과 함께 지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지표(안) 마련 이후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10개 기관 대상 시범 운영 과정과 데이터 분야 전문가 자문을 거쳐 현장 적합도 높은 새로운 진단지표를 개발할 수 있었다.
새롭게 시행되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진단지표’는 개별 기관의 데이터 활용역량을 조직·개인 부문으로 나눠 입체적으로 진단하고, 업무 성격과 직위를 고려해 역량 수준을 심층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조직 부문에서는 △데이터 비전/리더십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활용 성과관리의 3개 분야별 진단 문항을 통해 조직역량 수준을 측정한다.
개인 부문은 △정책/분석기획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분석 결과 활용의 4개 분야에 대해 기관 구성원들의 데이터 분석활용 수준을 진단한다.
이 밖에도 조직·개인 부문 역량을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일반 업무 담당자와 데이터 분석 업무 담당자의 직무 특성, 부서장과 실무자의 직위별 역할을 고려한 차별화된 진단 문항도 함께 제공한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진단지표의 개발 과정에서 공공 부문에 특화된 데이터 활용역량 수준도 정의했다. 기관별 조직문화와 기반(인프라) 수준, 업무 및 정책 수립 시 데이터 활용 실태 등을 고려해 도입기, 발전기, 확산기, 성숙기, 정착기의 5단계로 역량 수준을 구분했다. 그동안 민간 분야에서는 조직의 데이터 활용역량 수준을 나타내는 단계 또는 수준 정의가 있었지만, 공공 부문에 초점을 둔 수준 정의는 이번이 처음이다.
행정안전부는 각 기관이 손쉽게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을 진단할 수 있도록, 3월 중 선보일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탑재하는 등 온라인상으로 진단도구를 제공할 예정이다. 온라인 기반의 자율적 진단을 통해 각 기관의 조직역량·개인역량·종합역량 수준은 물론 맞춤형 역량 개선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제안된다.
행정안전부는 사용자 지침(가이드라인) 제공과 진단지표 활용 설명회를 통해 각 기관의 적극적인 진단 시행을 독려하고, 연중 운영되는 ‘역량 강화 자문(컨설팅)’을 통해 역량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등 기관 맞춤형 역량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매년 시행 중인 ‘데이터 기반 행정 실태 점검’ 과정에서도 새로운 진단지표 활용을 권고해 나갈 방침이다.
이용석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성패는 정부 기관들의 데이터 분석활용역량 수준에 달려 있다”고 강조하며, “정확한 역량 진단을 통해 기관별 맞춤형 교육과 자문(컨설팅) 등을 연계해 실행함으로써 정부 전체의 데이터 기반 행정역량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