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행정안전부는 6일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일하는 방식 혁신 방안’을 주제로 제21회 워크스마트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공개토론회(포럼)는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개념과 지향점을 공유하고 이에 따른 ‘일 잘하는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지금까지 추진돼 온 정부와 공공 부문의 일하는 방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돌아봤다. 아울러 본질적인 일 찾기를 통한 업무 생산성 강화, 회의 등 의사결정 방식을 포함한 업무 절차 효율화, 근무시간·업무공간 등 근무환경 유연화, 업무처리 과정에서 최신 디지털 기술 활용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민간기업 및 외국 행정기관의 일하는 방식의 우수 사례들을 논의하고 우리나라 행정기관에의 적용 가능성을 적극 검토했다.
기조강연을 맡은 오종훈 카이스트 교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추진하기 위한 국민, 기업 그리고 정부의 협력 모형을 제시하며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지향점을 공직사회와 공유했다. 이어서 오철호 숭실대 교수의 진행하에 ‘디지털플랫폼정부에서의 일하는 방식 혁신’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을 실시했다. 이수영 서울대 교수가 정부 일하는 방식의 현황과 문제점 등을 제시했다.
이준기 삼정KPMG 상무, 조세현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송영욱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부문장이 패널로 참여해 민간기업과 해외 공공기관 등을 관련 사례로 제시했다.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교육청의 혁신 담당자 100여명이 공개토론회(포럼)에 함께 참석해 질의·응답을 통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했다.
이동옥 행정안전부 정부혁신기획관은 “이번 워크스마트포럼은 정부의 일하는 방식을 어떻게 혁신해 나갈지에 대한 구체적 답을 찾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공 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워크스마트포럼은 범정부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 각계각층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경험과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다.
2015년에 시작한 후 지금까지 ‘업무처리 자동화(RPA)를 통한 업무 효율화’ ‘4차 산업혁명 시대 일하는 방식 혁신’ 등 매번 새롭고 혁신적인 주제를 정해 그 분야를 선도하는 기관들의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