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농식품부]
팜맵은 토지 소유권을 도면에 구획한 지적도와 달리 항공 영상 등을 활용해 실제 경작하는 토지에 대한 면적·속성(논, 밭, 시설, 과수) 등을 구획한 지도로, 그간 정부·지자체·연구기관 등에서 팜맵을 경지면적 조사·농경지 점검 및 작물 실태 조사 등에 활용해 왔다.
이번 개방은 공공기관의 데이터 개방 확대에 발맞춰 2020년 지자체 공무원 대상 팜맵 서비스 개방에 이어, 올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 범위를 확대했다.
별도의 회원 가입 필요 없이 누구나 손쉽게 농경지의 이용 면적·속성(논, 밭, 과수, 시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모바일 기반 서비스도 함께 제공될 예정으로 경작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민간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농업인에게 인근 지역의 팜맵을 제공해 농경지 활용에 의사결정 기반 자료로 활용되고, 무인 농기계 운영(자율주행) 관련 업계에는 드론 및 트랙터 등 운행좌표로 활용돼 정확한 방제 및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 윤원습 정책기획관은 “농경지 전자지도인 팜맵 서비스 개방을 통해 국민에게 좀 더 많은 농경지 정보를 제공하고, 무인 방제 등에 활용돼 스마트 농업에 활력을 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팜맵을 기반으로 다양한 작물 정보, 농업 행정 및 통계 등과 융합하고 시각화된 정보를 추가 제공해 여러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