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침해사고 데이터셋 구축 등 AI 보안산업 육성 위해 다방면 지원
[보안뉴스 이상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과 정은수 과장은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공지능협회가 주관해 온라인으로 열린 제2회 AI Security Day 세미나에서 현재 정부에서 인공지능 보안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계획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은수 과장[사진=보안뉴스]
정은수 과장은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 및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보안산업 분야 역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고도화해야하는 부분이 있다. 다만, 현재 국내 보안제품은 글로벌 제품과 비교했을 때 인공지능 성능이나 기능 적용이 조금 부족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인공지능 보안산업 육성을 위해 크게 세 가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크게 △인공지능 기반 보안 능력을 가진 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인공지능과 보안 지식을 겸비해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며 △민간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위협 정보 데이터셋을 공급해 보안 기업이나 학교 등에서 활용하도록 구축할 계획이다.
기업 육성 측면에서 국내 기업이 강점을 내보이는 분야가 있는 반면, AI 글로벌 전문기업과 비교하면 부족한 부분도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이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고 경쟁력도 갖추고 있지만, 이를 AI와 접목해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사업화를 위해 비용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경진대회 등을 통해 기술을 찾고, 기업을 발굴하는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정은수 과장은 “이러한 지원이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발에서부터 상용화, 해외진출이르기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며, 글로벌에서도 뒤처지지 않도록 유니콘 수준의 기업으로 육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AI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보안 기업을 약 75개 정도로 보고 있으며, 현재 15개 기업에 대해 지원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 말에서 내년 초에 제대로 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정보보호 인력 부족 역시 자주 이야기하고 있다. 보안을 잘 알지만, 인공지능 분야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반대로 인공지능을 알지만 보안 지식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정부는 이 두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교육과정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보안은 기존에도 교육하던 분야지만, 시장에서 이러한 인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난 만큼 별도의 전문가 과정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실습과 사례 중심의 교육을 통해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을 연간 60명 이상 공급한다는 목표다.
정보보호 기업이 인공지능 제품을 고도화하고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민간 기업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침해사고 이벤트 로그나 악성코드 분석 정보를 확보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이러한 데이터셋 구축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향후 해당 데이터셋을 민간 및 전문기업, 대학교 등에 공유하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정은수 과장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더 수월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산업 특화 AI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등 정부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비즈니스를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보안은 창과 방패의 싸움이다. 최근 공격자들이 인공지능으로 고도화된 공격을 펼치고 있는 만큼 방패의 입장에서 공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보안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AI 보안산업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다. 국내에서 글로벌 수준의 제품이 나올 수 있게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상우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