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당국 “8월 정보보안 취약점 1,990개 확인“

2019-09-11 16:20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url
국가인터넷응급센터 “고위험급 490개, 중위험급 1,190개”
정보보안 취약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문에서 가장 많이 탐지돼


[보안뉴스 온기홍=중국 베이징] 중국 당국이 8월 한 달 동안 정부 기관, 기업, 연구소, 학교 등에서 쓰이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정보시스템에서 공식 확인한 정보보안 취약점은 1,990개에 가까웠다. 이 가운데 고위험급으로 평가된 취약점은 490개였고, 중위험급은 1,190개 수준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지=iclickart]

국가인터넷응급센터 “8월 정보보안 취약점 약 1,990개 확인...고위험급 490개”
중국 ‘국가컴퓨터네트워크 응급기술처리 협조센터(CNCERT, 이하 인터넷응급센터)는 8월 첫째 주부터 다섯째 주(7월 29일~9월 1일)까지 국가정보보안취약점공유플랫폼(이하 CNVD)을 통해 협력업체(보안업체, 통신서비스업체, 통신기기장비업체)들과 CNCERT 지역 센터, 개인(화이트 해커)들로부터 접수한 사건형 정보보안 취약점들을 평가해, 최종적으로 약 1,990개를 확인해 등록했다고 밝혔다.

인터넷응급센터는 △8월 첫째 주(7월 29일~8월 4일) 308개 △둘째 주(5일~11일) 400개 △셋째 주(12일~18일) 498개 △넷째 주(19일~25일) 383개 △다섯째 주(8월 26일~9월 1일) 401개의 정보보안 취약점을 각각 최종 확인해 등록했다.

인터넷응급센터가 평가한 정보보안 취약점들의 위험 등급별을 보면, 8월 첫째 주에는 전체 취약점 308개 가운데 고위험급 취약점이 82개, 중위험급 200개, 저위험급 26개로 확인됐다. 둘째 주(전체 취약점 400개)에는 고위험급이 62개, 중위험급 196개, 저위험급 142개로 평가됐다. 셋째 주 주(전체 취약점 498개)의 경우 고위험급이 167개, 중위험급 263개, 저위험급 68개로 집계됐다. 넷째 주에는 취약점 383개 가운데 고위험급 취약점이 104개, 중위험급 264개, 저위험급 15개였다. 다섯째 주에는 취약점 401개 가운데 고위험급 취약점이 79개, 중위험급 267개, 저위험급 55개로 집계됐다고 센터는 밝혔다.


▲중국 국가인터넷응급센터가 8월 한 달 동안 공식 확인해 등록한 중국 내 정보보안 취약점 수량[자료=중국 국가인터넷응급센터]

제로데이(0day) 관련 취약점은 8월 첫째 주 41개(전체 보안 취약점 중 점유율 13%), 둘째 주 44개(11%), 셋째 주 149개(37%), 넷째 주 89개(23%), 다섯째 주 34개(8%)였다. 인터넷응급센터는 8월 첫째 주부터 다섯째 주까지 정보보안 취약점의 위협 등급을 평가한 결과, 모두 ‘중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中 8월 정부기관·통신·금융·에너지·교육 부문 정보시스템 내 보안취약점 현황
중국 인터넷응급센터가 CNVD를 통해 접수한 당·정부 기관 및 기업들과 관련된 사건형 보안 취약점을 보면, 8월 첫째 주에는 2,687개(주간 19% 증가), 둘째 주 1,923개(주간 28% 감소), 셋째 주 1,469개(주간 24% 감소), 넷째 주 1,865개(주간 27% 증가), 다섯째 주 2,022개(주간 9% 증가)였다. 인터넷응급센터가 중국 3개 유·무선 통신 서비스업체들에 통보한 정보보안 취약점 관련 사건은 8월 첫째 주 20건, 둘째 주 8건, 셋째 주 10건, 넷째 주 7건, 다섯째 주 19건으로 집계됐다. 센터가 은행, 증권, 보험, 에너지 등 중요 분야 기관·기업에 알린 보안 취약점 사건은 8월 첫째 주 23건, 둘째 주 17건, 셋째 주 4건, 넷째 주 7건, 다섯째 주 26건이었다. 또한 센터가 전국 각 지역의 CNCERT 센터와 협력해 검증·처리한 지방 중요 기관과 관련된 보안 취약점 사건은 8월 첫째 주 356건, 둘째 주 302건, 셋째 주 217건, 넷째 주 265건, 다섯째 주 644건으로 확인됐다.

센터와 교육 분야 응급 조직이 협조해 검증·처리한 대학·연구소 정보시스템 취약점 사건은 8월 첫째 주 104건, 둘째 주 50건, 셋째 주 64건, 넷째 주 52건, 다섯째 주 86건에 달했다. 이어 센터가 국가 상급 정보보안 협조 기관에 보고한 각 정부 부처 및 위원회의 홈페이지와 부설 웹사이트 또는 직속 기관의 정보시스템 내 취약점 사건은 8월 첫째 주 30건, 둘째 주 40건, 셋째 주 11건, 넷째 주 18건, 다섯째 주 18건이었다.

中 당국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문에서 정보보안 취약점 가장 많이 탐지돼”
인터넷응급센터가 최종 등록한 정보보안 취약점들을 영향 대상에 따라 나눠 보면, 8월 첫째 주(전체 등록 취약점 308개)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문 취약점은 173개로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이어 운영체제 부문 53개(17%), 웹 애플리케이션 51개(16%), 네트워크 장비(교환기, 라우터 등) 29개(9%), 보안 제품 1개(1%), 스마트 장비(사물인터넷 장비) 부문 취약점이 1개(1%)였다. 둘째 주(전체 취약점 400개)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문이 272개(68%)로 절반을 크게 넘었고, 데이터베이스 69개(17%), 웹 애플리케이션 42개(점유율 10%), 네트워크 장비 10개(2%), 운영체제 6개(2%), 보안제품 부문 취약점 1개(1%)로 집계됐다.

셋째 주(전체 취약점 498개)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문이 268개(점유율 54%), 웹 애플리케이션 142개(28%), 운영체제 44개(9%), 데이터베이스 13개(3%), 스마트 장비 부문 취약점 12개(2%), 네트워크 장비 11개(2%), 보안제품 부문이 8개(2%)였다. 넷째 주(전체 취약점 388개)에도 애플리케이션 부문 취약점이 307개(점유율 80%)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운영체제 34개(9%), 웹 애플리케이션 23개(6%), 네트워크 장비 10개(3%), 스마트 장비 6개(1%), 보안제품 부문 3개(1%)로 확인됐다. 다섯째 주(전체 취약점 401개)에도 애플리케이션 부문 취약점이 284개(점유율 71%)로 가장 많았으며, 웹 애플리케이션 42개(10%), 운영체제 40개(10%), 네트워크 장비 13개(3%), 보안제품 11개(3%), 데이터베이스 6개(2%), 스마트 장비 부문이 5개(1%)로 집계됐다고 센터는 밝혔다.


▲8월 중국 내 정보보안 취약점의 영향 대상에 따른 유형[자료=중국 국가인터넷응급센터]

中 8월 통신·모바일 인터넷·공업제어시스템 부문별 보안 취약점 수량
인터넷응급센터가 정보보안 취약점을 분야 별로 나눠 조사한 결과, 8월 첫째 주 통신 부문 취약점은 14개(고위험 5개, 중위험 8개, 저위험 1개), 모바일 인터넷 부문 4개(중위험), 공업제어시스템 부문이 1개(중위험)로 확인됐다. 둘째 주에는 통신 부문 7개(고위험 2개, 중위험 5개), 모바일 인터넷 부문 3개(중위험), 공업제어시스템 부문 취약점이 1개(고위험)였다. 셋째 주에는 모바일 인터넷 부문이 28개(고위험 17개, 중위험 11개)로 가장 많았고, 공업제어시스템 9개(고위험 2개, 중위험 6개, 저위험 1개), 통신 부문이 4개(고위험 2개, 중위험 2개)로 확인됐다. 넷째 주에도 모바일 인터넷 부문 취약점이 23개(고위험 9개, 중위험 10개, 저위험 4개)로 많았고, 공업제어시스템 6개(고위험 3개, 중위험 2개, 저위험 1개), 통신 부문은 1개(중위험)였다. 다섯째 주에는 모바일 인터넷 부문 취약점이 14개(고위험 1개, 중위험 5개, 저위험 8개), 통신 부문은 1개(중위험)로 집계됐다.


▲8월 중국 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일부 제품 관련 업체 분포[출처=중국 국가인터넷응급센터]

인터넷응급센터는 8월 중 최종 등록한 정보보안 취약점 가운데 주요 국내외 업체(제품)의 취약점 수량과 비중을 살펴본 결과, 첫째 주에는 △Microsoft(취약점 수량 43개, 점유율 14%) △Adobe(26개, 8%) △IBM(19개, 6%) △WordPress(19개, 6%) △HP(17개, 6%) △Wind River Systems(11개, 4%) △Intel(6개, 2%) △Linux(6개, 2%) △Apache(5개, 2%) △기타(156개, 50%) 순으로 많았다고 밝혔다. 이어 둘째 주에는 △Oracle(취약점 수량 100개, 점유율 25%) △cPanel(70개, 17%) △Magento(44개, 11%) △Adobe(25개, 6%) △Intel(23개, 6%) △Google(20개, 5%) △CloudBees(18개, 5%) △IBM(8개, 25) △Foo Labs(7개, 2%) △기타(85개, 21%) 등 차례로 보안 취약점 비중이 높았다고 센터는 덧붙였다.
[중국 베이징/온기홍 특파원(onkihong@yahoo.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헤드라인 뉴스

TOP 뉴스

이전 스크랩하기


과월호 eBook List 정기구독 신청하기

    • 씨프로

    • 인콘

    • 엔텍디바이스코리아

    • 핀텔

    • 아이비젼

    • 아이디스

    • 씨프로

    • 웹게이트

    • 엔토스정보통신

    • 하이크비전

    • 한화비전

    • ZKTeco

    • 비엔에스테크

    • 지오멕스소프트

    • 원우이엔지

    • 지인테크

    • 홍석

    • 이화트론

    • 다누시스

    • 테크스피어

    • TVT코리아

    • 슈프리마

    • 인텔리빅스

    • 시큐인포

    • 미래정보기술(주)

    • 세연테크

    • 비전정보통신

    • 트루엔

    • 경인씨엔에스

    • 한국씨텍

    • 성현시스템

    • 아이원코리아

    • 프로브디지털

    • 위트콘

    • 다후아테크놀로지코리아

    • 한결피아이에프

    • 스피어AX

    • 동양유니텍

    • 포엠아이텍

    • 넥스트림

    • 펜타시큐리티

    • 에프에스네트워크

    • 신우테크
      팬틸드 / 하우징

    • 옥타코

    • 네이즈

    • 케이제이테크

    • 셀링스시스템

    • 네티마시스템

    • 아이엔아이

    • 미래시그널

    • 엣지디엑스

    • 인빅

    • 유투에스알

    • 제네텍

    • 주식회사 에스카

    • 솔디아

    • 지에스티엔지니어링
      게이트 / 스피드게이트

    • 새눈

    • 에이앤티글로벌

    • 케비스전자

    • 한국아이티에스

    • 이엘피케이뉴

    • (주)일산정밀

    • 구네보코리아주식회사

    • 레이어스

    • 창성에이스산업

    • 엘림광통신

    • 에이앤티코리아

    • 엔에스티정보통신

    • 와이즈콘

    • 현대틸스
      팬틸트 / 카메라

    • 엔시드

    • 포커스에이아이

    • 넥스텝

    • 인더스비젼

    • 메트로게이트
      시큐리티 게이트

    • 엠스톤

    • 글로넥스

    • 유진시스템코리아

    • 카티스

    • 세환엠에스(주)

Copyright thebn Co., Ltd. All Rights Reserved.

MENU

회원가입

Passwordless 설정

PC버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