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통합 플랫폼 구축해 금융권에 맞춤형 위협 정보 실시간 공유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금융보안원이 내년부터 사후 대응 중심의 보안 체계를 ‘위협 인텔리전스 주도형 사전 예방 체계’로 대대적인 전환을 예고했다. 이를 위해 전담 조직 신설과 AI 통합 플랫폼 구축을 진행할 계획이다.

[자료: 금융보안원]
금융보안원은 최근 금융권을 비롯해 국가 핵심 인프라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됨에 따라,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주도형’(Intelligence-Driven) 사이버 대응체계 확립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위협 인텔리전스는 국내외 취약점 정보와 악성코드 등 보안 위협을 분석·정제해 의사결정과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통찰을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다. 대응체계 확립을 위해 △신뢰도 높은 정보 △통합 분석 및 AI 기반 분석 △정보 공유 체계화 등 수집-분석-공유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과제가 선정됐다.
이를 위해 2026년 1월부터 조직 개편 및 인사 발령을 통해 속도감 있게 추진할 전담 조직 신설과 인력 충원을 진행한다. AI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체계적으로 위협정보 수집·분석을 강화하고 도출된 정보는 금융권에 실시간으로 공유할 계획이다.
수집 확대를 위해 글로벌 보안 전문기업의 서비스를 연동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자동 수집하고, 공개 출처 정보(OSINT)의 위협 정보 수집 범위를 넗혀 잠재적 위협을 능동적으로 식별할 계획이다.
분석 강화는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축적된 위협 정보와 신규 정보를 연관·분석해 잠재적 위협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AI가 자동 추출한 정보를 보안 전문가가 정밀 검증하는 ‘AI-전문가 협업 체계’로 효율성과 신뢰도를 동시에 제고한다.
공유 체계화를 위해 위협 정보를 전략정보와 긴급정보로 구분해 생산하고, 맞춤형 공유 체계를 마련한다. 경영진에게는 중장기 의사결정 및 전략 수립 지원을 위한 ‘전략정보’를 제공하고, 실무진에게는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긴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상원 금융보안원장은 “지능화·정교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후 복구뿐만 아니라 잠재적 공격을 식별하고 실시간으로 위협을 탐지·차단하는 예방도 중요하다”며 “이번 인텔리전스 주도형 사이버 대응체계가 금융권의 위협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