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 모든 역량 지원, 철저한 조사 포함한 종합 대책 11월까지 마련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AI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시스템 가동중단 사태 대응을 위한 후속 조치다.

[자료: 연합]
위원회는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인공지능책임관(CAIO)협의회장과 정재웅 아토리서치 대표를 공동 리더로 하고,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이 TF는 현재 위원회가 가동 중인 기존 8개 분과와 3개 TF와 유기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TF를 중심으로 향후 정보통신 기반 시설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장단기 대책 마련 등 AI 시대 국가 디지털 인프라의 근본적 구조 개선 방안을 담은 종합대책을 11월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현행 전자정부 시스템은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등으로 나뉘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된 상황이라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각 부처가 칸막이 시스템을 만들어 왔고, 기존 시스템을 땜질식으로 유지·보수해 잦은 사고·위험이 늘었다는 비판이 컸다.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전자정부 시대를 마감하고, 새로운 AI 정부 시대로 전환하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빍혔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