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걸린 기관 해킹 노출, 전방위적 보안체계 재정립해야”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최근 이동통신사 해킹 사고가 잇달아 벌어진 가운데, 국가 연구기관까지 지난 10년간 2700여건의 해킹 공격에 노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국가안보 차원 대응 필요성이 제기된다.

▲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자료: 이정헌 의원실]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15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산하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로부터 제출받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속 정부 출연연구기관 23곳의 2016년~2025년 8월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총 2776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기관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8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41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09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9건 △한국재료연구원 173건 △한국기계연구원 160건 △한국화학연구원 154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44건 △한국표준화과학연구원 108건 등 9개 기관에서 100건 이상의 경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기관은 전자통신, 원자력, 핵융합, 화학, 생명공학, 보안 기술 등 국가 전략 기술과 직결되는 분야를 다루고 있다. 사이버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순 정보 유출을 넘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과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8월 해외 보안 매체 프랙은 북한 해킹 조직으로 의심되는 그룹이 행정안전부와 외교부, 통일부 등 정부부처와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한 정황을 보도했다. 이는 국가 기반 시설뿐 아니라 정부 핵심 부처와 연구기관까지 공격 사정권 안에 들어와 있음을 보여준다.
이 의원은 “통신사뿐만 아니라 국가 주요 기관에 대한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핵심 국익이 달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정부 기관들이 해킹 위험에 노출된 것은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KT·KT 사태는 빙산의 일각이며, 더 큰 중장기적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며 “통신 인프라를 포함해 행정부, 연구기관, 민간 기업까지 총망라한 사이버보안 체계의 대대적 재정립을 시작하자”고 촉구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