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고=포티넷코리아]
양자컴퓨팅이 현재 암호화 체계에 위협이 되지만, 과도한 공포감은 불필요하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대칭키 암호화가 적용된 경우 보안 강도를 두 배로 높여 위협을 막을 수 있으며, 비대칭키 암호화에는 새로운 보호 방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포티넷은 양자 보안을 위해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중점 개발했다. QKD는 양자 상태의 특성을 활용해 물리 법칙에 따른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도청 시도가 있으면 양자 신호가 즉시 변형돼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PQC는 양자 컴퓨터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이 좋아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포티넷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분야 모두에 양자 기술을 적용한다. 2023년 양자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카이버’(키교환용) 알고리즘과 ‘딜리시움’(전자서명용) 알고리즘이 탑재된 방화벽 시스템인 ‘포티OS 7.6’(FortiOS 7.6)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기존 장비와 호환돼 하드웨어 교체 없이도 양자 공격에 대비할 수 있어 업그레이드 비용과 시간을 줄여 준다.
또 양자 장치 제조사들과 협력해 키 생성, 전송, 암호화 전 과정을 자동화했다. 양자 장치에서 생성된 암호화 키는 광섬유를 통해 포티넷 방화벽으로 안전하게 전송돼 기업 데이터를 보호한다. 최고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다국적 은행 데이터센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포티넷은 자사 방화벽 ‘포티게이트 4201F’의 네트워크 암호화 기술에 스위스 양자 보안 솔루션 기업 아이디퀀티크(IDQ)의 양자키교환 기술을 더해 JP모건에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 바 있다. 싱가포르 국가 양자 보안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해 양자 보안 통신 시험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포티넷은 유럽 전기통신표준협회(ETSI) 등 국제 기구 및 선도 기업들과 협력해 양자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조원균 포티넷코리아 지사장은 “양자 컴퓨팅이 사이버 보안 환경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가운데, 포티넷은 선제적 솔루션을 구축했다”며 “지속적 기술 혁신과 글로벌 보안 생태계 협력을 통해 양자 내성 보안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