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농진청 등에 따르면 농진청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당시 해킹을 당한 정보화사업 용역 업체의 저장장치 데이터를 분석했다.
축사로 회원 정보 역시 이 업체 저장장치가 해킹 당하면서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 연합]
분석 결과, 용역업체 저장장치에서 과거 농진청 홈페이지 회원정보(2018년),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회원정보(2019년), 농약안전정보시스템 회원정보(2020년), 농촌진흥사업종합관리시스템 회원정보(2022년), 농업유전자원서비스시스템 회원정보(2023년) 등 47만9000여건의 데이터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 정보는 용역 업체의 저장장치 해킹을 통해 유출됐다. 축사로와 농진청 홈페이지 등이 직접 해킹을 당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농진청은 개인정보 유출이 확인된 회원 등을 대상으로 안내 메시지를 보내는 등 수습 작업을 하고 있다. 개인정보 분쟁조정 신청 창구 안내 및 2차 피해 유형과 대응 요령을 안내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고 등 필요한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식별번호는 수집 항목이 아니라 유출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농진청 관계자는 "현재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책반을 구성해 2차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농진청 정보서비스 회원은 스미싱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