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최근 3년(2017~2019년)간 차량 단독 교통사고 분석 결과, “차량 단독 사고 치사율이 8.0로, 전체 교통사고 평균인 1.7보다 4.7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때 치사율은 교통사고 100건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차량 단독 사고의 경우 25건의 사고가 발생하면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다는 의미다.
공단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3년(2017~2019년)간 차량 단독 교통사고 사망자는 총 2,352명이며 전체 교통사고의 20.8%를 차지한다. 차량 단독 교통사고를 차종별로 살펴보면 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는 농기계(33.56명)와 사륜오토바이(ATV, 25.65명)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를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65세 이상의 운전자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가 전체의 29.1%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별 사고를 요인별로 나눠 보면 음주운전 비율은 20대가 가장 높았으며 무면허 운전 비율은 1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차량단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7월 추락 위험이 높은 9개 구간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로 도출한 위험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우리 동네 교통안전 개선 사업’을 관계기관과 협업해 추진할 예정이다.
또 사망자 비율이 높은 고령 운전자나 10~20대 운전자의 무면허·음주 단독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 운전자 맞춤형 교육·안전운전 캠페인도 지속하고 있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올해 2월에는 경남 거창에서 고령 운전자 화물차 단독 사고로 3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쳤으며, 3월에는 광주에서 20대 음주운전 단독 사고로 5명이 사망하는 등 안타까운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며, “어르신께서는 내리막길·굽은 도로 또는 농로 등 비좁은 도로를 주행할 때 안전 운행에 특히 유의해 주시고, 무면허·음주운전과 같이 한순간의 잘못된 선택으로 소중한 목숨을 잃지 않도록 국민 모두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