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달청]
건축물은 구성 자재와 시공 방법이 매우 복잡해 건축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각 공공기관 및 민간 건설업계에서는 그동안 공사비 예측의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 이 사업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 사업’ 과제로 선정돼 약 13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약 6개월 동안 추진됐다.
‘공사비 정보광장’의 주요 서비스로는 크게 예상 공사비 산정, 유사 공사 검색, 공사비 관련 주요 통계 정보 제공이 있다.
우선 ‘예상 공사비 산정’ 기능은 설계 조건을 선택하면 선택된 조건과 동일한 공사를 참조해 평균 단위면적(㎡)당 공사비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돼 있다. 설계 조건은 ‘공사비 정보 분석체계 구축 연구용역’을 통해 도출한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조건 총 11개(유형, 층수, 구조 형식, 지반 형태, 건축물 인증 등)다.
또한 건설사업의 특성상 계획부터 실제 공사 발주 시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해 물가 변동이 반영된 공사비 보정 기능도 추가했다.
이 외에 유사 공사 검색 기능을 통해 대지면적, 용적률, 공사 기간 등 공사비 외의 다양한 공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공사 발주금액 및 연도별 시설물 유형별 공사금액 등 공사비와 관련한 다양한 통계도 제공할 예정이다.
강신면 시설사업국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AI)과 같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현재 주먹구구식의 공사비 산정 방식을 탈피해야 한다”며, “사업계획 단계에서 과학적인 공사비 예측으로 정부의 건설 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적정 공사비 보장으로 국내 건설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