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김성미 기자] 정부가 5년간(2018~2022년) 재난·안전 기술 개발에 3조 7,418억원을 투자해 기술력 수준을 선진국 대비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정부는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스마트(SMART)’한 기술을 개발해 국민 맞춤형 안전복지를 구현하겠다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미지=iclickart]
여기에는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인한 기술 진보에 맞춰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를 구현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기조가 반영돼 있다. 스마트는 ‘Suitability(국민 맞춤형 서비스)’, ‘Market(재난·안전 산업)’, ‘Advance(첨단 기술)’, ‘Reality(실증·참여형)’, ‘Together(협업형)’ 등 5개 영어 단어의 첫 알파벳을 조합한 것이다.
정부는 이를 목표로 3대 추진 전략과 10개 추진 전략을 설정했다. 이 전략에 따라, 우선 정부는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을 위해 7,69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국민생활 안심 서비스, 재난 피해자 지원 서비스, 재난 피해 회복력 강화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또 미래·신종 재난에 대비한 안전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2조 3,23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에 기반을 둔 재난·안전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급변하는 재난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난·안전 위험 요소 예측·영향 평가 기술과 빅데이터 기반 재난·안전 정보 활용 기술, 재난·안전 융·복합 대응 기술, 로봇 및 인공지능(AI) 기반 재난·안전 관리 지원 기술 등이 개발될 전망이다. 아울러 재난안전 기술이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6,489억원을 쓰기로 했다.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기술개발과 재난·안전 산업 실용화 지원 기술, 현장 중심의 협력형 기술 개발이 추진된다. 또한, 정부는 이 같은 종합계획이 실효성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범부처 연계·협력 및 성과 관리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제3차 종합 계획 예산은 제2차 종합 계획(2013∼2016년) 때의 2조 1,526억원보다 1조 5,892억원(73.8%)이 증가한 규모다. 정부는 국가 차원의 재난·안전 기술개발 활성화가 이뤄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제1차 종합 계획(2008∼2012년)과 제2차 종합 계획을 거치면서 선진국 대비 54% 수준이었던 재난·안전 기술 수준이 73%로 향상됐고, 투자 규모도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김성미 기자(sw@infothe.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