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사기범이 경찰서에 전화해 서울경찰청을 사칭하다가 검거됐다.
경기도 김포경찰서는 6일 경찰과 금융감독원, 신용카드사 직원을 사칭해 돈을 송금 받아 가로챈 중국국적의 Y 씨에 대해 사기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달아난 공범 L 씨 등 2명을 같은 혐의로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Y 씨는 지난 4일 오후 3시 경 김포경찰서 지능수사팀에 전화를 걸어 ‘서울경찰청’이라고 속인 후 “당신의 인적사항을 도용한 신용카드가 발급돼 A백화점에서 200만원 상당의 물품이 구매됐다. 지금 현재 연체된 상태니 현금카드를 소지하고 가까운 현금지급기 앞에서 대기하라”고 말했다.
전화를 받은 경찰은 보이스피싱 사기범인 것을 알아채고 현금지급기 앞으로 간 후 사기범이 일러주는 은행의 계좌번호를 받아내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했다.
Y씨는 5일 오전 11시 경 경남 진해시에 거주하는 50대 여성에게 같은 수법으로 600여만 원을 가로챈 후 12시 60분 경 수원에서 돈을 인출하려다 긴급 출동한 경찰에 체포됐다.
보이스 피싱, 지방거주 노인에게 피해 심각
날이 갈수록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지며, 사기수법도 대담하고 지능화되고 있다.
그러나 보이스 피싱의 근원지가 대부분 중국과 대만의 국제범죄단과 연루돼 있어 검거가 쉽지 않고, 사기수법도 매번 달라지고 있어 피해를 예방하기 쉽지 않다.
얼마 전 지방의 한 법원장이 아들이 납치됐다는 협박전화에 6000만 원을 사기당한 일이 발생해 보이스피싱 피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바 있으며, 최근에는 전화국을 사칭한 사기수법이 새로 신고되기도 했다.
KT 충북본부는 지난 5일 전화국 직원을 상칭하며 미납요금을 입금하라는 사기전화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을 이용해 전화를 건 뒤 9번 등의 버튼을 누르도록 유도해 이용자를 속이고 있는 것이다.
KT 충북본부는 “우리는 미납 또는 연체요금 내용을 안내할 뿐 몇 번을 누르라고 안내하지 않으며, 발신자 번호도 1577-9500으로 동일하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보이스피싱에 의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과 피해대상이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인 것으로 나타나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경북경찰청이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 말 까지 관할지역에 발생한 보이스피싱을 분석한 결과 경북지역에서만 104건의 보이스피싱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피해액이 13억 25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가장 많이 당한 피해는 친·인척 행세를 해 교통사고 합의금을 뜯어내거나 건강보험금 환급으로 돈을 가로챈 사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훔친 휴대폰으로 휴대폰의 가족에게 돈을 요구하고, 카드사 사칭, 납치 빙자 등의 피해사례도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러한 정보에 취약한 노인들이 사기범의 수법에 넘어가는 일이 많다”며 “어떤 경우에도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현금인출기를 통해 돈을 환급해주거나 신용카드 정지를 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선애 기자(boan1@boannews.co.kr)]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