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트론이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해 아날로그 영상과 HD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Hybrid NVR과 이를 지원하는 HD SLOC 카메라 및 NVR을 출시해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국내 DVR/NVR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파인트론의 제품군에 적용된 HD-SLOC에 대해 살펴보겠다.
┃파인트론(www.pinetron.com)┃
SLOC(Security Link Over Coaxial)은 빠르게 전환되는 HD 보안시장을 대상으로 개발된 양방향 전송기술이다. 기존의 HD영상 전송 솔루션으로 IP 및 HD-SDI 기술이 있으나 설비비용, 전송거리, 양방향성 등에 대한 한계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HD급 CCTV 시스템 전환 솔루션인 ‘HD-SLOC’를 소개한다.
기존 동축케이블을 활용한 HD보안 전환
HD-SLOC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500m까지 추가 리피터 없이 Full HD 보안영상을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초기 보안시장을 목표로 개발된 기술이기에 진폭감소에 둔감한 특성을 갖고 있어 전송능력이 뛰어나다. 이는 18.75MHz의 하향(Down Stream) 및 39.00MHz 상향(Up Stream)의 낮은 반송파를 통해 가능한 기술로, 방송용 솔루션인 HD-SDI(750MHz) 보다, 최소 5배(RG59기준) 이상의 전송거리 사양을 갖추고 있다.
IP 네트워크 특장점을 동축케이블로
IP 기반 CCTV 솔루션의 가장 큰 장점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별도의 선로공사없이 하나의 UTP 케이블로 100m 가량의 PTZ/Audio/Alarm 등의 통신이 가능함을 뜻한다. HD-SLOC은 IP기반 솔루션에 H/W SLOC Signal Coding 및 Decoding Module을 통합해, 동축 케이블로 초장거리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카메라의 세부적인 설정이 IP Camera Level과 동일하며 WDR/3DNR/AWB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부가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추후 보안 시스템이 네트워크 인프라(광통신 등)로 바뀌게 될 경우에도 별도의 SLOC Receiver를 통해 저비용, 고효율로 손쉽게 IP(UTP) 전환 역시 가능하다.
초장거리 전송원리
SLOC(Security Link Over Coax)는 2010년 미국 Intersil 사에서 발표한 영상 및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SLOC 전송신호는 크게 SD급(CVBS)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디지털 이더넷(Ethernet) 데이터로 구성된다. SD급 영상은 기존 아날로그 CCTV 시스템과 같이 기저대역을 사용하며 이와 함께 이더넷 하향(Down Stream 18.75MHz)/상향(Up Stream 39.00MHz)의 반송파에 실려 하나의 신호로 중첩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이렇게 전송될 중첩 양방향 이더넷 데이터는 부호화하고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되며 수신된 신호는 필터링, 디지털복조, 에러정정 등을 처리해 이더넷 데이터로 복조된다. 하향 데이터는 36Mbp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18.75MHz 부분에 QAM(직교 진폭 변조) 방식으로 고대역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향 데이터는 11Mbps 데이터를 39MHz에 QPSK(직교 위상 편이 변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진폭의 감소에 둔감한 특성으로 전송한다.
때문에 이 방식을 사용하면 동축 케이블(RG59)을 사용해 최대 500m까지 이더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SLOC 이더넷 데이터는 스위칭허브를 통하여 백본에 연결하거나, NVR 각 채널의 데이터들을 저장 장치에 보관/모니터링용으로 HD 관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고, 아날로그 SD영상은 기존의 아날로그 매트릭스 스위치 및 PTZ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관제 모니터 시스템에 활용된다.
손쉬운 설치와 클라이언트 환경
보안 환경의 HD 전환의 큰 걸림돌 중의 하나는, 기존의 인프라에서 전환되는 비용과 전환되는 시스템을 이해해야 하는 부분이다. HD SLOC은 기존 인프라에서, 카메라와 NVR의 교체 후 연결만으로 Full HD(1080p) 적용이 가능하다. HD-SDI와 같이 높은 전송 주파수로 인한 리피터 기기의 다수 장착과 오디오 및 제어신호선 연결이 필요 없으며, IP(UTP) 솔루션처럼 기본적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이해 없이 PnP(Plug and Play)를 완벽히 지원한다.
또한, EMS/VMS/Web viewer/Mobile Touch CMS 등 기존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지원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으며, 다양한 시스템에 최적화가 가능하다.
HD-SLOC의 적용 사례.
최근 카자흐스탄의 천연자원 공장은 HD영상 수요에 발맞춰 HD-SLOC CCTV 시설교체가 진행 중이다. 하루도 쉴 새 없이 가동되는 채광설비와 기존 케이블을 바꾸기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적용된 본 현장은, 시공비까지 저렴하기에 소개 직후 계약이 진행된 사례이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원자로 돔 내부의 특수성으로 인해 여러 HD Solution을 적용하려 했으나, 기능 구현의 실패로 HD SLOC로 적용되었으며, 올 2분기부터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처럼, 기존 설비를 유지 혹은 저렴한 시설비를 통해 HD 보안 시스템 전환이 요구되는 학교 및 관공서와 국가 주요시설 및 군부대의 꾸준한 기술 및 제품문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파인트론은 중저가 시장의 추가 보급을 위해 이미 지난 10월, 추가 제품 개발을 완료했다.
[월간 시큐리티월드 통권 제203호(sw@infothe.com)]
<저작권자 : 시큐리티월드(www.securityworldmag.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