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6667, CVE-2016-9639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2월 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7일에서 8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5372
NetApp Snap Creator Framework 4.3.0P1 이전 버전의 CSRF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하이재킹 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5711
NetApp Virtual Storage Console for VMware vSphere 6.2.1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고유하지 않은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격의 공격자가 이를 노리고 중간자 공격을 감행할 수 있게 된다.
3. CVE-2016-6495
NetApp Data ONTAP 8.2.4P5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7-Mode에서 실행되었을 경우 원격의 공격자가 볼륨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4. CVE-2016-6667
NetApp OnCommand Unified Manager for Clustered Data ONTAP 6.3~6.4P1 버전의 취약점으로 디폴트 권한 계정을 가지고 있어,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는 발판이 되기도 한다.
5. CVE-2016-9639
Salt 2015.8.11. 이전 버전의 취약점으로 삭제된 미니언(minion)들이 캐시 read와 write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