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9119, CVE-2016-9132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1월 30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30일에서 3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6270
Trend Micro 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5.1 이전 버전의 /vmi/manager/engine/management/commands/apns_worker.py의 handle_certificate 함수의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된 사용자들이 임의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CVE-2016-6604
안드로이드 L(5.0/5.1) 및 M(6.0)용 Samsung Exynos fimg2d 드라이브의 널 포인터의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불특정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6-7798
Ruby의 openssl gem의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암호화 보호 메커니즘을 쉽게 우회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CVE-2016-9119
MoinMoin 1.9.8 이전 버전의 GUI 편집기의 링크 대화창의 XSS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들이 임의의 웹 스크립트나 HTML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CVE-2016-9132
Botan 1.8.0~1.11.33의 취약점으로 BER 데이터를 디코딩할 때 정수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 커럽션 공격 등이 가능해진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