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7039, CVE-2016-7042
.jpg)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현지 시각으로 10월 16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6일에서 17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0249
IBM Security Guardium Database Activity Monitor p310 이전의 8.2 버전, p700 이전의 9.x~9.5 버전, p100 이전의 10.x~10.1 버전에 있는 SQL 인젝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SQL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2. CVE-2016-6327
리눅스 커널 4.5.1 이전 버전의 drivers/infiniband/ulp/srpt/ib_srpt.c에 있는 취약점으로 로컬의 사용자가 ABORT_TASK 명령으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6-6828
리눅스 커널 4.7.5 이전 버전의 include/net/tcp.h의 tcp_check_send_head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데이터 복사 실패 후 특정 SACK 상태를 제대로 유지시키지 못한다. 이로써 로컬의 사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4. CVE-2016-7039
리눅스 커널 4.8.2 버전의 IP 스택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대형 패킷에 대한 GRO 경로를 활성화시켜 DoS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CVE-2016-8666과 관계가 있는 취약점이다.
5. CVE-2016-7042
리눅스 커널 4.8.2 버전의 security/keys/proc.c의 proc_keys_show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GNU Compiler Collection 스택 프로텍터가 활성화 되었을 때 잘못된 버퍼 크기를 적용한다. 이로써 로컬의 사용자가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