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1324, CVE-2016-1986
.jpg)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2월 1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1일에서 12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1320
시스코 Prime Collaboration 9.0과 11.0의 CLI에 있는 취약점으로 로컬 사용자가 관리자 권한을 악용해 임의의 OS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Bug ID CSCux69286과 동일하다.
2. CVE-2016-1322
시스코 Spark 2015-07-04의 REST 인터페이스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의도된 접근 제한을 우회하고 임의의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v72584와 같다.
3. CVE-2016-1323
시스코 Spark 2015-07-05의 REST 인터페이스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을 받은 사용자가 불특정 파일을 요청함으로써 민감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v84048과 같다.
4. CVE-2016-1324
시스코 Spark 2015-07-06의 REST 인터페이스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함으로써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v84125와 같다.
5. CVE-2016-1986
HP Continuous Delivery Automation(CDA) 1.30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임의의 명령어를 조작된 자바 객체를 통해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아마치 Commons Collections 라이브러리와 관련이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