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1947, CVE-2016-1948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1월 31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31일에서 2월 1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1944
모질라 파이어폭스 44.0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던 ANGLE의 Buffer11::NativeBuffer11::map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메모리 커럽션 등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1945
모질라 파이어폭스 44.0에 있는 nsZipArchive 함수의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ZIP 아카이브가 진행되는 동안 포인터를 잘못 사용함으로써 DoS 공격 등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6-1946
모질라 파이어폭스 44.0 이전 버전의 libstagefright 내 binding/MoofParser.cpp에 있는 MoofParser::Metadata 함수에 있는 취약점으로 ‘읽기’ 기능의 용량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정수 오버플로우나 버퍼 오버플로우 등을 통해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CVE-2016-1947
모질라 파이어폭스 43.x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Application Reputation 서비스로의 연결을 시도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 이로써 원격의 공격자가 의도치 않은 다운로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5. CVE-2016-1948
모질라 파이어폭스 44.0 안드로이드 이전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lightweight-theme 설치 시 HTTPS 연결이 확실히 사용되는지 확인하지 않는다. 이로써 공격자가 중간자 공격을 실시해 테마 이미지와 색깔을 교체할 수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