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공인인증서 논란, 무엇이 정말 문제인가?

2010-05-06 17:48
  • 카카오톡
  • 네이버 블로그
  • url

기술만을 강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증 및 결제 수단을 제공해야

최근 몇 달 동안 공인인증서와 관련된 찬반 논쟁이 인터넷과 신문 지상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1999년 전자서명법 제정과 동시에 시작된 공인인증서 제도는 인터넷뱅킹 및 주식거래, 카드결제, 주택청약, 연말정산, 각종 민원서비스, 전자여권 등 생활 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공인인증서란 전자적인 형태의 인감증명서로서 인터넷 상에서의 서명 날인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말하는데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10년 2월 현재 2천272만건의 공인인증서가 발급되어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90%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공인인증서와 관련된 논란은 ▲공인인증서가 과연 안전한가 ▲공인인증서가 정말 부인방지에 도움이 되는 수단인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기술 선택권을 준다는 점에서 인터넷뱅킹시 공인인증서 기술만을 강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증 및 결제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이상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인인증서의 안전성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된다. 하나는 “공인인증서 방식은 키의 안전한 보관이 어려워 해킹에 취약하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공인인증서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익스플로러와 액티브엑스(ActiveX) 하에서만 동작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해킹에 취약하고 공정거래를 저해한다”는 것이다.

공인인증서 사용시 개인의 인감도장에 해당하는 ‘.key’ 형태의 개인키 파일은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초기에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공인인증서 및 개인키 파일을 주로 PC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보관하였다. 그러나 PC 해킹을 통한 공인인증서 유출·도용 사례가 점차 증가하면서 2005년 정부는 공인인증서 및 개인키 파일을 PC의 하드디스크 대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이동식 저장장치나 HSM(Hardware Security Module) 등과 같은 보안토큰에 저장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계획은 사용자들이 추가비용 부담 문제 및 이용이 불편한 점을 들어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하에 보류되었고 현재 사용자들은 PC 하드디스크, USB 메모리, 보안토큰, 휴대폰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2009년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공인인증서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있는 사람이 67.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USB 메모리 63.8%, 휴대폰 8.5%, e-메일 또는 웹하드 1.7% 순이었음).
그러나 당초 공인인증서 기술이라는 것이 사용자의 키를 스마트카드(IC카드)나 보안토큰 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인인증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키의 저장시 반드시 보안토큰을 사용토록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2005년 당시 진작에 의무화하였다면 더욱 좋았겠지만...

미국 국립표준기술 연구소(NIST)가 2006년 4월 발간한 ‘전자인증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HSM 보안토큰을 이용한 공인인증서 기반 전자인증 방식이 여러 가지 인증 수단 중 가장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있다. 현재 공인인증서 방식의 대안으로서 국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OTP(One Tine Password) 방식인데, 이는 이용할 때마다 다른 비밀번호가 생성돼 해킹이나 사용자의 관리소홀 등으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공인인증서 방식은 키를 본인만이 소지하고 있는 반면 OTP 방식의 경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시 사용되는 키를 두 거래당사자(예를 들어 본인과 은행)가 모두 알고 있어야 하므로, 공인인증서 방식이 은행 내부직원에 의한 거래 내역 조작에 대해 보다 본질적으로 더 안전하다.

액티브엑스와 관련해서는 우선 공인인증서는 국제표준을 준용하는 기술 중립적인 것으로써 액티브엑스로만 구현 가능한게 아니라 자바 등 다양한 기술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익스플로러 이외에 파이어폭스, 애플 사파리, 오페라, 구글 크롬 등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공인인증서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인터넷익스플로러와 액티브엑스가 필요한 것처럼 느끼는 이유는 국내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제품이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아서 대부분의 보안업체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최적화 된 제품들만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사실 업체가 시장원리를 쫓아 점유율이 가장 높은 플랫폼에 최적화된 제품을 만드는 것을 잘못이라고 탓할 수는 없다. 그러나 리눅스, 맥O/S 등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거나 혹은 파이어폭스, 사파리, 크롬 등과 같은 다른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소수의 국민들을 포용하기 위한 정책적·기술적 배려가 없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는 정부가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지금부터라도 정부는 이들을 위한 공인인증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해 나가야 할 것이다.

혹자는 국내의 경우 공인인증서를 특정위치(NPKI 폴더)에 저장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 중립적이라고 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공정거래를 저해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 어디에 저장해야 한단 말인가? 일반 PC의 MSCSP store에 저장하게 되면 대부분의 웹브라우저에서는 공인인증서를 인식할 수 있게 되지만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에서는 쓸 수가 없게 된다. 아이폰에서 프로파일 Keyring에 저장하게 되면 사파리 웹브라우저에서만 쓸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특정 회사의 특정 제품에 편향되지 않은 독립적인 위치(NPKI 폴더)에 저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저장 위치를 옮기고 싶다면 인증서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Export/Import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둘째로 공인인증서(정확히 말하면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전자서명)의 부인방지 효과에 대해 살펴보자. 인증서의 부인방지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사람들은 종종 사용자가 “내 키를 분실했다. 내가 한 거래가 아니다”라고 주장하면 공인인증서는 부인방지 효능을 가질 수 없다고들 말한다. 오프라인 상에서의 은행 거래를 생각해 보자.  계좌 이체시 이체용지에 계좌번호, 금액 등을 쓰고 서명 날인한 후 은행 창구에 제출한다. 인터넷 뱅킹에서는 오프라인 은행 거래에서와 마찬가지로 은행 홈페이지에서 입금정보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오프라인 은행 거래에서 인감 또는 서명의 위조 및 도용이 잦다는 이유로 인감을 폐지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왜 온라인 인터넷 뱅킹에서는 전자서명을 없애야 하는가? 보안기술은 만능이 아니다. 현실 세계에서 못 막는 것은 사이버 공간에서도 막을 수 없다.

셋째로 기술 선택의 자유 측면에서 살펴보자. 국제결제은행(BI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산하 바젤은행감독위원회(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의 ‘전자금융 위험관리 원칙’에 따르면 전자금융 보안에 있어서 특정 기술을 강제하지 않고 각 은행에 기술선택권을 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금융감독원에서 전자금융거래시 공인인증서만을 사용하도록 강제하였다가 최근 들어 공인인증서 이외에 이와 동등한 보안수준을 갖는 다른 방식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은 '인증방식평가위원회'를 두어 공인인증서 방식 이외의 방식에 대한 안전성 심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늦긴 했지만 다양한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점은 칭찬받을만 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우선 인증방식평가위원회 및 관련 심사기준을 객관적이고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예를 들어 IT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표준인 Common Criteria를 활용해도 좋을 것)이다. 또한 인증방식평가위원회는 모든 전자금융거래에 대해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할 것이 아니라, 보호해야 할 자산의 가치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안 수단이 적용될 수 있도록 심사기준을 완화해 탄력적으로 운용해야 할 것이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10만원짜리 자산을 100만짜리 금고에 넣어 보호할 수는 없지 않은가?

공인인증서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한국적으로 성공시킨 사례로서 관련 경험 및 노하우를 해외 여러 나라에 역으로 수출하고 있는 우수한 기술이다. 현재의 공인인증서의 안전성과 관련된 논쟁들은 대부분 개인키의 안전한 관리와 관련한 것들로서 논의의 중심을 안전하고 편리한 공인인증서 저장매체 보급에 두어야지 공인인증서를 OTP로 대체하자는 말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기술 선택권을 준다는 점에서 공인인증서 기술만을 강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증 및 결제 수단을 제공해야 하는 만큼 큰 규모의 거래에는 공인인증서 방식을 작은 규모의 거래에는 공인인증서 방식 또는 OTP 방식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해당 정부기관과 보안업체들은 공인인증서 방식이 보다 다양한 웹 환경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특히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증진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

[글 - 김승주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skim@security.re.kr)]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헤드라인 뉴스

TOP 뉴스

이전 스크랩하기


인증서해악 2010.05.08 18:27

국민의 PC를 좀비로 만들어버리는 그 단초가 공인인증서라고 생각한다. 공인인증서를 무조건 PC에 설치해야되니, 프로그램을 설치하겠습니까? 그러면 예를 누르게되고, 무조건 예를 누르면 바이러스든 뭐든 내 PC에 설치가된다.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절대로 피해야한다. 공인인증서로 얻는 것보다 국민의 PC를 바이러스덩어리로 만든손실이 더 크다.


설득력이없어 2010.05.08 03:42

A를 얘기하면 B로 반박을 하고, B를 얘기하면 C로 반박을 하고... 제대로 된 논의를 하려고만 하면 항상 요리 조리 빠져 나가시지 않았었나요? 김교수님께서 정상적인 논의를 거론하다니 설득력이 없어 보이고 그 이유가 없습니다. 과연 이런 글을 쓰는 사람이 진정한 토론을 원하시는 모습인지가 궁금합니다.
http://openweb.or.kr/?p=1826


선생 2010.05.08 03:27

도둑이 제 발 저린다, 방귀낀 사람이 성낸다라는 표현이 딱 어울리네요. 안타깝습니다.


youknowit 2010.05.08 01:48

정상적 논의가 불가능한 듯 하네요. 안타깝군요.


김교수짱 2010.05.07 21:34

이에 극단적인 생각으로 일관하고 있는 오픈웹 김교수의 주장에 대해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야 하는 의견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그러한 행동 하나하나도 전부 보안업체의 로비로 간주되고 있으니 처음부터 김교수와는 말이 통할 수가 없는 거죠.
조만간에 본 기사의 김승주 교수의 주장도 곧 보안업체의 술로비로 이루어 진 것이라고 오픈웹측에서 거론될 것입니다.


김교수짱 2010.05.07 21:24

김교수는 처음부터 pure web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정해 놓고, 나머지 모든 것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배척을 하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 행동을 계속해서 해 왔습니다. 공인인증서 자체의 장단점을 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따지기 보다가는 "pure web에 위배되니 무조건 좋지 않다"라는 식으로 결론을 미리 정해 놓고 논리를 편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기 위해 상대방에게 기술적으로 반박을 하기는 하는데, 그 기술적인 천박함에 웃음밖에 안나오지를 않으니. ㅎ
가끔씩 웃음을 주시는 김교수님께 감사할 따름입니다.


뭐냐 2010.05.07 21:01

선생이 쓴 쓰레기는 글이 아니다.
논리라고 주장은 하나, 그저 초등학생이 일기쓰기 싫어서 투정을 적어놓은 낙서에 불과하다.

오픈웹은 일단 배척하고 보는 피해의식만 번져있는가?


youknowwah 2010.05.07 20:58

안방에 있는 귀금속을 도둑으로부터 막기 위해 대문도 있고, 현관 자물쇠도 있고 금고도 있고... 그런데, 대문과 현관 자물쇠는 잠금장치로 약하니까, 다 걷어 내고 금고만 장치하면 된다... 그런데 금고가 있어도 가끔 털리는 경우가 있으니 금고마저도 소용이 없다.. 결론은 다 걷어 내자는 말?


선생 2010.05.07 20:17

다음 중 아래 주장의 논리와 비슷한 문장을 짝지으시오

1. 지렁이로 과자를 만들지 않는 것은 모든 국민들에게 초코맛 과자를 먹도록 유도한다. 과자회사들이 지렁이맛 과자보다 초코맛 과자가 더 시장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 기밀문서를 저장하기위해 ID카드, 지문인식, 홍체인식으로 보호하는 것보다 비밀번호 하나로 보호하는 것이 훨씬 간단/단순하므로 안전하다. 복잡하면 할 수록 취약점이 생겨날 가능성은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3. 강도가 나쁜 짓을 하기로 마음을 먹으면 칼만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범죄를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총의 구입을 법적으로 허용하더라도 범죄를 막을 수 없다는데 있어서는 다를 바 없다.


선생 2010.05.07 19:57

제가 초등학생 국어시험 하나 내겠습니다.
다음 보기 중 주장에 대한 근거가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복수 선택 가능)

1.
주장 : 은행은 OTP로 장난을 칠 수 없다 (나쁜 짓을 할 수 없다)
근거 : "은행이 나쁜 짓을 하기로 마음을 먹으면 인증서를 사용하더라도 막을 방법은 없으므로"

2.
주장 : OTP는 (공인인증서 보다) 구현이 훨씬 간단/단순하다
근거 : "(공인인증서는) 훨씬 복잡한 구현 과정이 필요합니다. 복잡하면 할 수록 취약점이 생겨날 가능성은 더 증가합니다"

3.
주장 : NPKI 폴더에 저장하는 것은 점유율이 높은 웹브라우저에서만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근거 : "사업자들이 시장점유율이 높은 웹브라우저용 플러그인만을 배포하(기 때문)"

4.
주장 : 웹브라우저가 인증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면 전체 설계가 훨씬 간단하고 안전할 것이다
근거 : "플러그인이나 별도 프로그램이 전혀 필요 없게 될 것(이기때문)"


youknowit 2010.05.07 17:39

한가지 더 추가하면, 웹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인증서가 저장되면, 서버/클라이언트가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 설계가 훨씬 간단하고 안전할 것입니다. 플러그인이 제기하는 보안/사용성/서비스제공범위제약 문제를 일거에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거래내역 전자서명은 현행 규정 체제 하에서도 강제 사항이 아니므로, 서비스 제공자 중에는 거래내역 전자서명을 받지 않는 방법으로 자신의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고(현행 규정 하에서도) 이럴 경우 플러그인이나 별도 프로그램이 전혀 필요 없게 될 것입니다. NPKI 폴더에 인증서가 저장될 경우 플러그인을 피해 갈 방법은 없습니다.


youknowit 2010.05.07 17:28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조금 달리 생각하는 부분이 있어 댓글을 답니다.
1. 인증서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이므로 은행 등이 함부로 조작할 수 없으나, 대칭 암호화 기법에 의존하는 OTP는 은행이 장난을 칠 수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그리 설득력이 없습니다. 은행이 나쁜 짓을 하기로 마음을 먹으면 인증서를 사용하더라도 막을 방법은 별로 없습니다(예를 들어, 은행은 자신에게 불리한 거래 내역과 서명 값 전부를 삭제하고 거래를 부인할 수도 있습니다).

2. 오히려 OTP를 사용할 경우 구현이 훨씬 간단/단순합니다. 인증서를 (그것도 플러그인을 동원하여) 사용할 경우, 훨씬 복잡한 구현 과정이 필요합니다. 복잡하면 할 수록 취약점이 생겨날 가능성은 더 증가합니다.

3. 웹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인증서를 저장하라는 오픈웹의 주장은 "특정" 웹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어 MS Crypto Keystore)에만 저장하라는 것이 아니라, pkcs#12 형태로 인증서를 발급해 주면 된다는 것입니다. 유저는 자신이 선택한 웹브라우저에 저장하면 됩니다.

NPKI 폴더에 저장된 인증서를 유저가 export 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에 import 할 수 있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그런 조작을 할 수 있는 유저라면 pkcs#12로 발급받은 인증서를 자신의 웹브라우저에 import 하는 작업은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NPKI 폴더에 저장하는 것이 중립적이라고 하시지만, 사업자들이 시장점유율이 높은 웹브라우저용 플러그인만을 배포하는 것을 나무랄 수 없다는 교수님 스스로의 지적과 결합되면 "결국"에는 점유율이 높은 웹브라우저에서만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결과를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좋은 글 거듭 감사드립니다.


과월호 eBook List 정기구독 신청하기

    • 지인테크

    • 인콘

    • 엔텍디바이스코리아

    • 핀텔

    • KCL

    • 아이디스

    • 씨프로

    • 웹게이트

    • 엔토스정보통신

    • 하이크비전

    • 한화비전

    • ZKTeco

    • 비엔에스테크

    • 지오멕스소프트

    • 원우이엔지

    •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 TVT코리아

    • 이화트론

    • 다누시스

    • 테크스피어

    • 홍석

    • 슈프리마

    • 인텔리빅스

    • 시큐인포

    • 미래정보기술(주)

    • 유니뷰

    • 비전정보통신

    • 아이원코리아

    • 인터엠

    • 위트콘

    • 성현시스템

    • 한국씨텍

    • 투윈스컴

    • 스피어AX

    • 다후아테크놀로지코리아

    • 한결피아이에프

    • 경인씨엔에스

    • 디비시스

    • 트루엔

    • 세연테크

    • 프로브디지털

    • 동양유니텍

    • 포엠아이텍

    • 넥스트림

    • 핀텔

    • 위즈코리아

    • 삼오씨엔에스

    • 벨로크

    • 피앤피시큐어

    • 신우테크
      팬틸드 / 하우징

    • 에프에스네트워크

    • 네이즈

    • 케이제이테크

    • 셀링스시스템

    • (주)일산정밀

    • 아이엔아이

    • 새눈

    • 미래시그널

    • 인빅

    • 유투에스알

    • 에이티앤넷

    • 케비스전자

    • 한국아이티에스

    • 엣지디엑스

    • 네티마시스템

    • 에이앤티글로벌

    • 이엘피케이뉴

    • 와이즈콘

    • 현대틸스
      팬틸트 / 카메라

    • 제네텍

    • 구네보코리아주식회사

    • 창성에이스산업

    • 에이앤티코리아

    • 지에스티엔지니어링
      게이트 / 스피드게이트

    • 티에스아이솔루션

    • 엔에스티정보통신

    • 엔시드

    • 포커스에이아이

    • 넥스텝

    • 엘림광통신

    • 메트로게이트
      시큐리티 게이트

    • 레이어스

    • 주식회사 에스카

    • 엠스톤

    • 글로넥스

    • 유진시스템코리아

    • 카티스

    • 세환엠에스(주)

Copyright thebn Co., Ltd. All Rights Reserved.

MENU

회원가입

Passwordless 설정

PC버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