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에 UNIST, 서울대, 성균관대 선정
[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산업을 이끌 핵심 인재 확보를 위한 사업 수행기관으로 LG AI연구원 등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과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을 진행한다.
이번 과제 선정은 5월 국회를 통과한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된 AI 인재 양성 예산을 바탕으로 추진됐다.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현장 문제를 해결하는 산학협력형 인재양성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둔다.

▲AI 핵심인재 양성 사업에 선정된 수행기관들 [자료: 과기정통부]
생성AI 선도인재양성 사업에는 LG AI연구원, 엔씨에이아이(NC A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선정됐다.
실제 산업 현장 기술 수요를 바탕으로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2개 이상의 대학이 공동 참여하는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초격차 생성AI 기술을 확보할 핵심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 기관은 자체 보유한 생성AI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연구용 API 및 데이터 제공, 기술 지도, 공동연구 프로젝트 운영 등을 통해 과제당 석·박사급 학생 24명 이상을 현장 중심으로 양성한다. 매년 우수 연구자 3명 이상을 선발해 기업 파견 및 심화연구 기회도 제공한다.
3개 과제를 신규 선정,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의 적시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LG AI연구원은 카이스트, 서울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와 함께 ‘LG AI STAR 인재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피지컬 AI 분야의 거대 생성모델 기술 선도를 목표로 한다.
NC AI는 서강대, KAIST, UNIST와 협력해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시대에 적합한 실무형 AI 인재를 육성한다. 게임 제작 파이프라인 효율화를 통한 게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KETI는 서울대, KAIST, 고려대, 연세대 등과 함께, 인간 중심의 범용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휴먼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와 인력양성을 추진한다.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AI 스타펠로우십) 사업엔 울산과학기술원, 서울대, 성균관대가 선정됐다. 창의성과 도전성을 갖춘 우수 AI 신진연구자를 집중 지원한다. 우수 연구자들이 석박사 이후에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기 R&D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AI 원천 및 융합 분야의 혁신적·도전적 연구과제를 대학 내 연구실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발굴한다. 각 분야 선도기업과 협력해 실질적 산학 공동연구와 현장 연계형 인재 양성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으로 3개 과제를 신규 선정, 미래 AI 산업을 이끌 최고급 신진 연구인재의 성장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UNIST는 노타AI, SK에너지 등과 협력, 차세대 제조 혁신을 위해 시각·언어·행동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AI 기반 온디바이스 제조 AI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대학교는 크래프톤, 네이버클라우드, 원익로보틱스와 함께 시공간 데이터(4D), 다감각 정보(5S), 6대 로봇 기술(6R)을 융합한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성균관대학교는 포티투마루, 아크릴, 에이딘로보틱스와 공동으로 사람과 AI가 협업하기 위한 협력지능형 에이전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글로벌 선도를 위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며 인재를 키우는 산학협력 기반 모델을 정착시킬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AI 산업을 이끌 핵심 인재 양성과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