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안내문자, 인터넷주소(URL) 미포함…비공식 경로 주의 당부
24시간 감시·신고체계 집중 운영…범정부 전사적 대응체계 가동
[보안뉴스 여이레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노린 디지털 사기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전사적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스미싱, 피싱, 큐싱 확인서비스 이용방법 참고이미지 [자료: KISA]
최근 소비쿠폰 사업을 악용하는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 등 각종 디지털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KISA는 대국민 보안공지와 더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과 합동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강화해왔다.
KISA가 지목한 주요 사칭 수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부24나 카드사, 지역화폐 앱 등을 사칭해 대상자, 쿠폰 발급처, 지원금 등 키워드가 포함된 문자로 악성 인터넷주소(URL) 클릭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피싱사이트로 접속시키거나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는 스미싱이다.
다음으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또는 ‘사용 방법’ 등으로 포털 검색 시 상단에 노출된 피싱사이트나 광고를 통해 사용자 접속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보이스피싱 수법은 소비쿠폰 추가 지급이나 지급 방법 안내 등을 빙자해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 입력, 원격제어앱 설치, 피싱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식이다.
KISA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 사칭 범죄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공식 홈페이지 집중 모니터링 △스팸·스미싱 신고 및 차단 강화 △악성 URL 긴급 차단 체계 운영 △118 상담전화 집중 운영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히 공식 안내 문자에는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되지 않을 예정이며 정부24·지자체·카드사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 외에 신청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공식 안내를 받지 않은 경로의 안내문자나 URL이 포함된 메시지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이상중 KISA 원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책인 만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민생범죄 시도가 나타날 수 있다”며 “24시간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여이레 기자(gor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