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아이에 따르면, 현재 국내 16개 시도 및 200여 개 시군구 가운데 약 60여 곳에서 공문서에 음성변환 코드를 적용해 활용하고 있다. 전체 지방자치단체 약 다섯 곳 중 한 곳이 문자음성변환 서비스를 도입한 셈이다.

[자료: 보이스아이]
공공기관은 2021년 시행된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라 시각장애인과 시청각장애인을 위해 공문서, 시행문 등의 문서 내 음성변환 코드 삽입이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문서에 음성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것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온나라 시스템 2.0 도입 및 전환 과정에서 음성변환 코드가 적용되지 않은 채 공문서를 운영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대구광역시 및 산하 9개 시군 △강원 원주 △충남 천안 △부산 남구 등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문서 내 음성변환 코드 삽입을 통해 정보소외계층의 정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공문서 내 삽입된 음성변환 코드는 스마트폰의 ‘보이스아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스캔 시, 인쇄물에 게재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해 준다. 또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태국어 등 58개국 언어 번역기능까지 제공해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를 포함해 다문화 가정에도 차별없는 공문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권성 보이스아이 대표는 “보이스아이의 음성변환 코드는 지방자치단체 공문서는 물론 정부24의 민원 서류, 대법원 판결문, 각종 세금 고지서, 공공기관 소식지 및 간행물, 그리고 교육기관과 금융기관에서도 활용되고 있다”며 “보이스아이는 음성변환 코드 시장에서 95% 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 음성변환 코드 도입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