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위협 평가에 기반한 통합 보안 전략 필요해”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파수는 3일 오전 ‘FDI 서밋 2025’를 개최하고, 국내 IT·보안 리더들에게 인공지능(AI)과 보안의 융합 전략을 소개하고 국내외 기업과의 동반성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조규곤 파수 대표가 FDI 서밋에서 발표하고 있다. [자료: 파수]
FDI 서밋은 국내 기업 및 기관 CIO, CISO를 대상으로 글로벌 IT·보안 트렌드와 우선 과제, 대응 방안 등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세미나는 ‘AI 혁명에서 살아남는 방법: 데이터 인프라, 거버넌스 그리고 보안’(Navigating AI Disruption: Data Infrastructure, Governance and Security)을 주제로 서울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렸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생성형 AI와 사이버 보안’ 발표를 통해 생성형 AI의 급격한 확산과 사이버 위협 및 지정학적 갈등 등에 대응하기 위한 AI·보안 융합 전략을 소개했다. AI 시스템 인프라에 대한 과도한 선투자보다 AI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강화와 AI 거버넌스 구축을 강조해온 조 대표는 기반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라인 구축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조 대표는 사이버 위협과 지정학적 갈등에 대한 우선 과제로 △사이버 보안 최적화 △사이버물리 시스템(CPS) 보안 △공급망 리스트 관리 등을 꼽았다. 특히, 사이버 보안 최적화와 관련해 전 세계 대부분의 기업이 수십여개의 보안 솔루션을 활용하지만, 위협은 지속되고 예산 부담은 줄어들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강봉호 파수 서비스사업본부장은 최근 국내 사이버 보안 사고들과 관련한 한국 기업들의 사이버 보안 현실의 주요 문제점과 보안 시스템 구축에 대해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강 본부장은 한정된 자원에서 최대 효과를 보기 위한 보안 투자를 위해 △임직원의 보안 인식 향상 △데이터 암호화·백업 △취약점 분석 △태세 관리 등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강 본부장은 현실적으로 사이버 위협을 완벽히 막을 수 없지만, 반복된 훈련을 통해 보안 인식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도 해킹 위협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보안 사고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암호화·백업을 갖추고 보안 취약점 점검 등을 제안했다.
조 대표는 “특정 보안 솔루션 몇 개로 현재의 보안 위협을 완벽하게 방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현재 상황에 대한 보안 위협 평가를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통합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파수는 보안부터 AI 시장까지, 독자적인 기술력과 검증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국내외 주요 기업의 파트너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파수는 보안뉴스·시큐리티월드가 선정한 2025 Global Security TOP 100 기업이다. Global Security TOP 100은 물리보안 분야와 사이버보안 분야를 모두 포함해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외에서 매출, 성장 속도, 기술력, 혁신성, 지속가능성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선정됐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