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성장동력 확보, 기술 주권 확립, 지속 가능한 성장 등 제시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투자방향을 인공지능(AI)과 양자 등 게임체인저 기술 투자, 기술영토 개척 및 수호, 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한 성장 등을 제시했다.
▲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공청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자료: 과기정통부]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진행하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투자방향안을 제시했다.
투자방향안 2026년 정부 R&D 예산 투자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으로 정부 R&D 예산 배분·조정 지침으로 활용된다.
정부는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방향안’으로 △과학기술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첨단산업·안보를 지키는 과학기술 주권 확립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가 임무 해결을 제시했다.
AI, 첨단 생명과학(바이오), 양자 등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민·관 협력을 통한 규모 확대와 더불어 성장을 위한 국가 기초체력 증진을 지원하기로 했다.
반도체와 모빌리티 등 우리 주력 산업 분야의 차세대 전략기술 투자 강화와 더불어 우주, 사이버보안 등 기술영토를 개척·수호하기 위한 R&D를 지원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한다는 계획 등도 제시했다.
아울러 모든 투자는 국민 안전과 함께 인재 성장·육성, 기후변화 적응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것임을 강조했다.
정부는 선도형 R&D 투자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사업평가 결과를 예산에 반영하고 분야별 로드맵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조정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이번 투자 방향은 의견수렴을 거쳐 보완한 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의결을 거쳐 내달 15일까지 관계부처에 통보할 계획이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투자방향에 대한 발표와 함께 연구자 참여 토론 및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 본부장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기술경쟁에 직면해 있지만, 中 딥시크가 제한된 환경에서 성과를 이뤄낸 것처럼 우리나라도 충분히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며 “공청회를 통해 모인 의견을 바탕으로 투자방향을 마련해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