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mberg-

[이미지 = gettyimagesbank]
- cast는 ‘던지다’는 뜻이고, shadow는 ‘그림자’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cast a shadow는 그림자를 던지다는 뜻이 됩니다.
- shadow 외에 cloud를 써도 됩니다. ‘구름을 던지다’는 뜻이 되겠지요. 뭔가 그늘이 지게 한다는 의미에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래서 이 둘은 합쳐서 ‘분위기를 망치다’는 뜻이 됩니다. 한국 표현으로는 ‘찬 물을 끼얹다’ 정도가 있겠습니다. 그 끼얹음을 당하는 것을 뒤에 표현하고 싶을 때는 over나 on을 쓰면 됩니다. cast a shadow on/over가 됩니다.
- 위의 예문은 최근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 회의와 관련된 기사에서 발췌한 것인데요,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이 일부 주요 국가로부터의 지지를 얻어내지 못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 기반을 확장하려는 그의 노력에 찬물이 끼얹어졌다’는 의미에서 cast a shadow가 사용됐습니다.
- 예문을 추가로 보겠습니다.
* Her father┖s illness had cast a shadow over the birth of her baby.
(그녀의 아버지가 병을 앓고 있어 아이의 생일에도 분위기가 썩 좋지 못했다.”
* Charges of corruption against the organising committee have cast a cloud over the games.
(조직 위원회가 부정 부패를 저질렀다는 혐의로 기소되는 바람에 행사 전체의 분위기가 흐려졌다.)
* Both issues have cast a shadow over the mayor┖s campaign.
(두 문제 모두 시장의 선거 운동에 찬물을 끼얹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