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York Times-

[이미지 = gettyimagesbank]
- bread는 빵이고, basket은 바구니입니다. breadbasket은 있는 그대로 번역하면 ‘빵 바구니’가 됩니다. 하지만 정말 ‘빵 바구니’를 뜻하려면 두 단어를 띄어서 쓰는 것이 보통입니다. bread basket이라고요.
- 하지만 오늘의 표현은 bread와 basket을 붙여 쓰는 것으로, ‘빵 바구니’와는 조금 의미가 다릅니다. 아예 상관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 위의 예문을 보면 어느 정도 힌트가 나옵니다. 위 기사에 의하면 이번 주 화요일 수단이라는 나라의 주요 도시 하나가 반군 세력에 의해 빠르게 점령 당했다고 하는데요, 그 주요 도시가 ‘농업적 빵 바구니’였다고 합니다. 무슨 뜻일까요? 맥락 상 농업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가 얼추 예상되긴 합니다.
- 틀리지 않습니다. ‘주요 농업 도시를 반군 세력이 점령했다’라고 번역해도 무난히 통과될 겁니다.
- 하지만 breadbasket에는 ‘농업적으로 중요한’ 혹은 ‘풍요로운’이라는 것 외에 더 많은 뜻이 담겨져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까지 농산물을 공급할 정도로’ 풍작을 하는 곳이라는 뜻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냥 풍요로운 게 아니고, 그냥 중심지인 게 아니라, 해당 지역은 물론 다른 지역에까지 먹을 것을 가져다주는 곳이라는 거죠. ‘공급원’이라는 느낌이 강합니다.
-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여기서 말하는 농산물은 주로 ‘빵을 만드는 재료’라고 사전에는 나와 있는데, 최근 들어서는 이런 뉘앙스가 점점 흐려지고 있기는 합니다. 빵과 상관없더라도 농작물이 잘 나오는 곳이라면 breadbasket이라고 표현되기도 합니다.
- 예문을 보겠습니다.
* Our district is the most fertile in all Malawi, often called the “breadbasket” of the country.
(우리 지역은 말라위에서 가장 비옥하여, 나라 전체에 먹을 것을 공급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 This, bear in mind, is the breadbasket of America, an area that produces roughly half the world’s cereals.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이곳이 미국의 곡창지대라는 것이다. 세계가 먹는 시리얼의 절반 가량이 여기서 생산된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