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hington Post-

[이미지 = gettyimagesbank]
- 오늘의 표현은 두 가지 표현이 합쳐서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한 가지씩 따로 공략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두 표현 모두 뜻이 같아서, 사실 하나를 익히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 먼저는 ‘make a break’입니다. break는 흔히 ‘깨다’, ‘부수다’의 뜻으로 쓰이는데, ‘탈출’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I broke from the prison이라고 하면 감옥을 탈출했다는 뜻이 됩니다. 오래 전에 ‘프리즌 브레이크’라고 하는 미국 드라마가 한창 유행한 적도 있었죠. 이 드라마도 감옥을 탈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보안 업계에서는 아이폰의 ‘탈옥’을 뜻할 때 jailbreak라고 하기 때문에 흔히 접해보았을 단어이자 표현이기도 합니다.
- make a break는 ‘탈출하다’는 뜻이 됩니다. escape과 동일합니다.
- 탈출을 뜻하는 또 다른 표현이 있는데, 바로 run for it입니다. make for it도 아니고 escape for it도 아니고 run for it입니다.
- run만 단독으로 사용하면 ‘도망치다’는 뜻으로 탈출하는 것과 비슷하긴 하지만 다릅니다. run for it으로 써야 탈출하다가 됩니다.
* One of the arrested gang members ran for it, and the police sent helicopters.
체포된 범죄 단체 멤버 중 한 명이 탈출하자 경찰은 헬기를 보냈다.
- 그런데 간혹 위 예문처럼 make a break for it이라고, 둘을 합쳐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흔하지는 않습니다. make a break 따로, run for it 따로 사용하는 게 보다 정석 영어에 가깝습니다. 위의 문장이 워싱턴포스트라는 유명 매체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말해 실수라고 보는 시각도 있긴 합니다.
- 아무튼 위 예문의 뜻은 태풍 하이쿠이로 인해 중국에 물난리가 나면서 악어 75마리가 탈출했다는 것으로, 이들을 사냥하느라 당국이 진땀을 빼고 있는 듯합니다.
- 출근일인데요, 6시에 제 때 ‘탈출’하시길 기원합니다.
* I hope that we all make a successful break for it at 6pm today.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