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국토안전관리원]
형상 측정은 케이블 장력 변화로 인한 특수 교량(현수교 및 사장교)의 상판이나 주탑의 변위(느슨해짐)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특수 교량은 설계 하중의 60~70%를 케이블이 지지하는 구조로 돼 있어 지진, 강풍, 차량 통행 등으로 인한 변위가 일반 교량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교량의 형상 측정은 교량 시설물 곳곳에 많게는 수십개의 프리즘(타깃)을 설치한 후 광파측량기를 통해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정확한 측량을 위해서는 정밀 안전진단 때마다 프리즘의 훼손과 오염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도 따랐다.
반면 장거리 3D 레이저 스캐너는 프리즘을 설치하지 않고 초당 최대 100만포인트의 레이저를 교량에 발사하는 방식으로 측정한다. 경남 남해군 남해대교 형상 측정에 적용한 결과 장거리 3D 레이저 스캐너는 광파 측량 때보다 2일가량 작업 시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리원은 소록대교, 삼천포대교 등 향후 진행할 교량 정밀 안전진단에 장거리 3D 레이저 스캐너를 확대 도입하기로 했다. 김일환 원장은 “장거리 3D 레이저 스캐너는 교량 정밀 안전진단 기술 고도화와 생산성 향상의 계기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