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수립된 2차 기본계획은 2016년에 수립돼 추진해 온 제1차 기본계획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연구용역 등을 거쳤다. ‘화재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비전으로 2022년부터 2026년까지 특별관리시설물에 대한 화재 안정성 확보를 정책 목표로 제시했으며,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예방)·지속적인 준비태세 확립(대비)·현장 중심의 초기 대응체계 구축(대응)·안전관리 인프라 조성(기반 조성)을 4대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선제적 안전관리 강화’는 예방 단계로, △중·장기 안전관리정책 및 제도 마련 △지역 특성 맞춤형 화재 대응 시스템 구축 △비대면·맞춤형 교육 및 홍보 활동 전개를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지속적 준비태세 확립’은 대비 단계로, △소방특별조사 고도화 및 화재안전진단 활성화 △화재 대비 소방훈련 내실화 △특별관리시설물별 화재 저감 활동을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현장 중심의 초기 대응체계 구축’은 대응 단계로, △자위소방대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 매뉴얼 개발 △유관기관 대응 및 지원체계 수립 △ 화재사고 DB 구축 및 화재 원인 조사 강화를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안전관리 인프라 조성’은 기반 조성 단계로, △자율 안전관리 협업 네트워크 구축 △미래 안전관리기술 개발·보급 △지속적 추진 기반 확보(성과평가)를 중점과제로 추진한다.
남화영 소방정책국장은 “연말까지 시·도소방본부에서 세부 시행계획을 충실히 수립하도록 지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별관리시설물에 대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