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권 준 기자] 최근 해킹을 통한 사생활 엿보기 등 침해사고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IP 카메라의 보안 강화를 위해 민·관이 한데 뭉쳤다.

[이미지=iclickart]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26일 주요 IP카메라 제조사 및 유통사 등과 함께 IP카메라 보안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 협력 회의를 개최했다. IP 카메라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해 다른 기기로 영상의 실시간 송출이 가능한 카메라로 웹캠 또는 가정용 CCTV로도 불린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IP 카메라 침해사고 사례를 공유하고, IP 카메라 보안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생산·유통 현장에서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우선, 안전한 IP 카메라 생산을 위해 제조사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구성된 ‘IP 카메라 보안점검리스트(안)’과 이용자의 비밀번호 변경, 보안 설정 방법 등을 안내하는 ‘IP 카메라 이용자 보안 수칙(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아울러 IP 카메라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서비스, 보안취약점 발굴·개선, 보안 요소기술 개발 등 다양한 보안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 결과 등을 바탕으로 민·관 협력으로 IP카메라 보안 강화 방안을 마련·추진할 계획이며, 이용자 대상으로 안전한 비밀번호 관리, 보안 패치 적용 등 보안 강화 방안에 대하여 적극 홍보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는 과기정통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과 최동원 사이버침해대응과장, 한국인터넷진흥원 전길수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과 황보성 침해대응단장 등이 참석했으며, IP 카메라 제조 및 유통기업으로 한화테크윈과 인콘, NHN엔터테인먼트 등 국내 기업은 물론 중국의 양대 영상보안기업인 하이크비젼과 다후아 코리아 담당자들도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과기정통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정부는 제조·유통 등 민간과 협력하여 이용자가 안전한 IP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도록 보안성 강화를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이용자들도 사생활 노출 등 IP 카메라 침해사고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비밀번호 변경, 소프트웨어 최신 업데이트 등 이용자 측면에서의 보안 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권 준 기자(editor@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