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보안 패러다임 변화... 자동화로 ‘안심 혁신’ 지원”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테이텀 시큐리티는 금융정보보호 콘퍼런스(FISCON) 2025에 참가해 망분리 완화 이후 급격히 확산 중인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환경의 보안 리스크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금융보안원이 주최하는 FISCON 2025는 ‘Leading the Change’를 주제로 20일 여의도 콘래드서울 호텔에서 열린다.

[자료: 테이텀 시큐리티]
최근 금융당국의 망분리 완화 정책으로 금융권 클라우드·생성형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잘못된 설정(Misconfiguration)이나 과도한 접근 부여, 규제 미준수 등의 보안 리스크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테이텀 시큐리티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 플랫폼(CNAPP)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보안 형상 관리(CSPM) △워크로드 보호(CWPP) △인프라 권한 관리(CIEM) 등 전 영역을 아우른 통합 클라우드 보안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이 솔루션은 가상화·컨테이너·서버리스 환경 등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 전반을 포괄하고, 설계부터 배포·운영 단계까지 보안점검과 취약점 대응을 자동화한다. 또 국내외 금융권 규제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대응 기능을 강화, 금융기관의 데이터 주권과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양혁재 테이텀 시큐리티 대표는 “금융권 망분리 완화 정책으로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활용 요구가 증가하면서, 금융 보안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며 “테이텀 시큐리티는 자동화된 보안 점검과 컴플라이언스 대응을 통해 일련의 변화 속에서도 금융기관이 안심하고 혁신할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