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개인정보와 민감정보의 안전한 활용과 보호 및 전문 인력 양성에 대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29일 중앙대학교 102관 유니버시티 클럽(University Club)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프라이버시 연구와 전문인력양성 세미나’를 개최했다.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 전반에 깊숙하게 스며들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는 단순한 기술적 과제를 넘어 사회적 신뢰와 책임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인공지능 시대에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상과 산업을 혁신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의 안전한 활용과 보호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로 남아있다.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프라이버시와 전문인력 양성’ 세미나 현장 [자료: 보안뉴스]
이에 대한 심도깊은 논의가 이뤄진 이번 세미나는 중앙대 융합보안대학원의 ‘개인정보보호 전공(석·박사 과정)’ 신설을 기념한 행사다. 인공지능 시대에 요청되는 개인정보보호 연구 방향과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행사는 중앙대 융합보안대학원과 데이터프라이버시연구센터(ITRC), 그리고 산업보안연구소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을 비롯하여, 강원랜드, 한국환경공단,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그랜드코리아레저 등을 포함한 공공기관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기업들과 중앙대 병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중앙대 성맹제 연구부총장의 환영사와 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 염흥렬 회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세미나가 진행됐다. 발표세션에서는 ‘AI시대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원칙 기반 규율체계’(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고낙준 과장), ‘AI시대 가명정보 제도 정책 동향’(한국인터넷진흥원 양승설 변호사), ‘데이터 프라이버시 산업 현황과 미래 전망’(LG CNS 노혜진 팀장),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인공지능(중앙대 김호기 교수)’ 등 AI시대의 주요 현안들이 논의됐다.
이후 중앙대 배영식 교수를 좌장으로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중앙대 교수진(중앙대 민진영 교수, 이기혁 교수)과 산업계·법조계 전문가(홍영란 모비딕 대표, 법무법인 선우 손태진 변호사 등)가 참여해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프라이버시와 전문인력 양성’을 주제로 심층 논의를 이어갔다.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학술행사를 넘어, 인공지능 시대에 요구되는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의 균형을 모색하는 협력의 장으로 평가됐다.
중앙대학교는 이번 융합보안대학원 ‘개인정보보호 학위 전공(석·박사)’ 신설을 계기로 기존의 학부 산업보안학과(데이터프라이버시 융합전공) 및 보안대학원 개인정보보호학과와 연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유기적인 교육·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프라이버시 분야의 고급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