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부처 예산 절반씩 투입, 사업 전반에 걸쳐 협업 형태로 운영 계획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국내 10여개 대학에 10년간 1천억원씩 투입, ‘국가연구소’ 구축 사업이 추진된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134595080_494.jpg)
▲연구수행 주체별 연구인력 분포와 이공분야 교원 수[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국가지정연구실인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국가연구소(NRL: National Research Lab)는 대학 부설 연구소를 선정해 매년 100억원씩 최대 10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1999년부터 운영, 대학 연구생태계 확충에 기여 평가의 국가지정연구실(NRL) 사업 이름을 땄다. 연구책임자 지원의 기존 NRL과 달리 대학 선정 지원이 특징이다.
이번 사업은 연구생태계 구축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외 주요국은 대학이 연구원 수백명에 달하는 대형 연구소를 구축, 지속가능성 확보와 연구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연구원 5명 이하 연구소만 70% 등 공동연구 수준이 미약하다.
이러한 배경에는 부처별 지원이 분산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 양 부처가 예산을 절반씩 투입, 사업 전반에 걸쳐 협업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다.
올해는 4개 연구소를 선정, 내년과 내후년까지 각각 4개 연구소 추가 선정이 목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체 지원 규모는 1조1천600억원 규모로 탁월한 대학 연구소 소수 운영이 목적”이라며 “현재 연구 중심대학 약 30여개 정도가 탁월하다고 보면 10여개 정도가 충실히 운영되는 게 취지에 적당하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연구소는 예산을 활용할 수 있는 ‘블록펀딩’(묶음예산) 방식으로 지원한다. 연구인력 확충 및 연구시설과 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연구개발 등을 자유롭게 추진할 수 있다.
국가연구소는 △세계 최고 수준 연구 경쟁력 확보 △부처·학문 주체 간 경계 허물기 △대학별 자율적 투자 보장 등에 주안점에 초점을 맞춘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134595080_7173.jpg)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전략[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대상은 이공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다. 기존 연구소를 재편, 신설 신청도 가능하다.
올해 선정된 연구소는 연구소 발전 계획과 대학 연구소 육성 의지 등 평가를 거쳐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국가연구소는 대학 본부 소속 직할 연구소로 운영된다. 겸임 교원 및 전임연구원과 행정지원 인력 및 장비 엔지니어, 박사후연구원 등으로 인력을 구성한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기존 집단연구와 연구소 지원 사업도 체계화해 지원키로 했다. 교육부는 대학 역량별 연구소 지원 체계를 구축, 국가연구소와 대학기초연구소지원(G-LAMP), ‘대학 혁신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키 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 연구 전초기지인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은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국가지정연구실에 이은 국가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 연구역량 재고에 기폭제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교육부 장관은 “대학 자율성에 기반한 혁신적 연구생태계 구축은 우리 사회 미래를 위한 중요한 문제”라며 “국가연구소 사업으로 대학 연구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국내 대학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 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인재가 모이는 연구 거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또한 양 부처는 24일 온라인, 27일 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