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태계 조성 필요, 인프라 투자와 연구개발, 인력 양성 등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저비용·고성능 AI 딥시크 등장이 국내 업계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거라는 의견이 나왔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353241561_8309.jpg)
[이미지=gettyimagesbank]
6일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2차관은 서울 중구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회의실에서 국내 AI 산업 경쟁력을 진단·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딥시크 발전에 따라 국내 AI 기업 의견을 수렴해 AI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AI G3로 도약할 발판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네이버클라우드와 KT, 카카오 등 국내 AI 산업 선도 기업이 참여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딥시크 발전은 우리 기업에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하며 “우리 기업이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AI 생태계 조성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국내 AI 연구개발 기획을 담당하는 정혜동 정보통신기획평가원 PM은 사전 발제에서 “향후 글로벌 AI 시장 경쟁은 인프라 확장을 넘어 소프트웨어 경쟁력까지 포함된 복합 경쟁으로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한국은 AI기본법 제정과 컴퓨팅 자원·데이터 확보 등을 통해 글로벌 AI 경쟁에 도약할 기회를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강 차관은 “2월 개최되는 ‘국가AI위원회’에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세부 전략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