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고=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지난 26일 개최된 ‘2024년 제7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알키미스트 Ⅱ)’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면제가 확정됐다.
‘판기술’이란 신시장 창출 또는 기존 주력산업 혁신적 전환으로 우리 산업판도(版圖)를 재편할 수 있는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기술·제품·서비스를 말한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중국 등 후발국 추격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기술, 대기업조차 실행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R&D)이 국가적으로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알키미스트 Ⅱ)’ 사업 예타 면제를 통해 우리 미래 먹거리가 될 신산업을 조속히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정부는 동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10~20년 내 도래할 글로벌 신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판기술’을 확보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적극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우리 산업의 판도를 재편할 수 있는 세계 최초 기술 및 제품·서비스 개발로 신시장 창출 및 주력산업의 혁신적 전환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핵심 원천기술 개발과 함께 상용화 및 사업 생태계 구축도 적극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전문가 위원회 등을 거쳐 ①생산자동화·로봇 ②반도체·디스플레이 ③에너지 ④바이오·의료 ⑤모빌리티를 미래 핵심 전략 분야로 발굴했으며, 이러한 5개 핵심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3년(2025~2027년)간 10대(大) 판기술 연구과제(테마)를 순차적으로 선정·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조속한 성과 도출을 위해 기존 알키미스트 사업 성과도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이민우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기존 ‘알키미스트’ 사업은 세계 최초·최고 기술 개발을 목표로 실패를 용인하는 도전·혁신형 연구개발(R&D)을 적극 지원해 많은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바,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알키미스트 Ⅱ)’ 사업도 이를 계승해 미래시장 게임체인저가 될 신기술·신시장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동 프로젝트 선행사업으로 진행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사업 진행 3년 만에 배양육 등 7개 테마에서 130억원 민간 투자 유치, 스핀오프기업 3개사 설립, 기술가치 3,461억원의 성과를 거뒀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