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
[이미지 = gettyimagesbank]
- on hand라고 하면 얼른 ‘손 위에’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집니다. 아주 틀린 건 아닙니다만, 거기서부터 의미를 조금 더 발전시켜야 현재 시점에 on hand의 정확한 뜻을 알 수 있습니다.
- 손 위에 있다는 건 곧바로 쥐고 사용할 만한 거리에 있다는 뜻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뭔가 유용한 것, 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가까이에 있다고 표현할 때 on hand라는 말을 씁니다.
- 가장 유사한 단어로는 available이 있습니다.
- 위의 발췌문은 얼마 전 중국에서 발생한 7.1 강도의 대지진에 관한 기사에서 나온 것입니다. 구조대원들이 현장으로 빠르게 달려왔고, 정오 정도가 되니 구조 인력이 천 명에 달했다는 의미로 on hand가 사용됐습니다. available을 대입해도 말이 됩니다.
- on-hand라고 해서, 중간에 하이픈을 삽입한 표현도 있습니다. 미묘하게 달라서 현지에서도 on hand와 on-hand를 엄격하게 구분하지는 않는 듯합니다. 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on hand : 쓸 만한 것이 가까운 곳에 있다
* on-hand : 즉각 쓸 수 있게 예비되어 있다
- 예문을 통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 He always kept a supply of firewood on hand for cold nights.
(그는 밤이 추워질 것을 대비해 항상 예비 장작을 비축해 두었다.)
* Banks are required to have certain levels of cash on-hand at any time.
(은행이라면 어느 정도의 현금을 늘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아무 때나 즉각 사용하기 위해서다.)
* The new fire station has two fire trucks on hand to handle any emergencies.
(새로 생긴 소방서에는 어떤 긴급 상황에서라도 대처할 수 있도록 두 대의 소방차가 대기하고 있다.)
* We always keep a supply batteries on hand for our flashlights and small electronics.
(플래시와 소형 가전을 가동시키기 위해 예비 배터리를 항상 준비하고 있다.)
- 예문들에 on hand와 on-hand를 바꿔서 넣어봐도 말이 됩니다. 다만 두 번째 은행 관련 예문은 on-hand가 더 적절해 보입니다. 즉시성이 담겨 있어야 하는 문장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나머지는 긴급하기도 하고 아니기도 해서 둘 다 괜찮습니다. 그래서 점점 현지에서도 구분이 없어지는 듯합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