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이상우 기자] 코리아엑스퍼트가 자사의 NexS3-EUS(Expert Underwriting System) 솔루션이 생명보험사의 70% 이상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는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보험업계에서는 최근 유병자상품/장기보험 상품 판매 확대로 현장 인수심사 자동화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미지=코리아엑스퍼트]
코리아엑스퍼트는 대형 생명보험사 및 손해보험사에 동 솔루션을 공급 및 프로젝트를 수주함으로써 독보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디지털 건강정보 및 CB(개인신용) 정보를 활용한 병력확인으로 UW자동심사 확대와 청약절차 간소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관련 국내 대형 기업에 장기 질병심사 자동화 시스템(이하 시스템)을 구축해 질병 현장 사전심사 자동화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보험업계 디지털 혁신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러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 사전심사는 고객 입장에서 과거에 질병이 있었더라도 가입설계 단계에서부터 신속하게 가입 가능여부 및 조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 보험가입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보험 모집인 또한 인수심사 결과를 기다릴 필요 없이 24시간 365일 심사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대상을 크게 확대해 영업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심사자가 다양한 질병정보 및 검사정보를 검토한 후,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심사 편의 기능을 적용하고, 질병에 대한 상세 고지정보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병별 인수기준 최적화를 위한 통계분석 및 AI 학습자료 축적 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시스템을 주요 업무 프로세스 내에 구현해 사전심사와 본 심사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사용 편의성 및 시스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가입설계 시 재설계와 심사신청 횟수가 줄어들고, 자동심사로 심사 시간을 줄이는 등 자동화 기능과 심각 병력에 대한 가입 조건 안내 기능이 현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향후 AI 기반의 보험심사 시스템은 사람을 대신해 보험계약을 승낙하거나 거절하는 의사결정을 기계가 처리하는 시대가 열릴 것이며, 정해진 인수기준에 부합하면 AI 언더라이터가 계약을 자동으로 통과시키고 기준에 맞지 않으면 거래를 종료하거나 조건부인수하는 완전 자동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리아엑스퍼트 권오동 상무는 “장기 질병심사 자동화 시스템은 고객 및 현장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AI를 학습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질병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라며, “CB 정보 및 건강정보를 이용한 AI 기반의 Smart UW 심사체계는 향후 보험업계의 추세가 될 것”이라며 기대했다.
한편, 코리아엑스퍼트는 1995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지능형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전문 기업으로 금융/공공 분야의 지능형 보험심사·보험사기방지·여신심사·내부정보유출방지 등을 위한 예측분석 및 시스템 구축 전문업체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세계최초 일회용ID(OTID) 기반의 인증 솔루션 사업을 통해 클라우드, 무선인터넷, IoT 인증 등의 사용자 인증 시장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 빅데이터 및 AI 기법을 바탕으로 보험심사 전문가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다.
[이상우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