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화학테러 대응 훈련시설은 총 10개월의 연구를 거쳐 개발됐으며, 국내 유일의 화학테러 대응 훈련용 전문 시설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번 시설의 개발로 기존 화학사고 대응 훈련뿐만 아니라 화학테러 대응 전문 훈련이 가능해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현장 대응 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화학테러 대응 훈련시설은 국내 연구진과 유관기관의 자문을 받아 과거 해외 화학테러 사례를 분석해 국내에서 대비 태세가 필요한 훈련 주제를 담았으며, 실제와 같은 화학테러 대응 훈련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먼저 테러범들이 일반 주택가에서 폭탄 원료물질(TATP, 시안화나트륨)을 제조하는 불법 실험실을 경찰특공대 등 유관기관이 급습하는 과정을 현실과 흡사한 가상환경으로 구축했다.
또한 화학테러 대응 전문가, 경찰특공대원, 폭발물 처리반, 소방관 등 총 4개 직업군의 최대 6명이 동시에 합동훈련이 가능하며 폭발물 해체, 유독물질 안정화 및 수거 등의 역할 훈련도 실제와 흡사하게 할 수 있다.
이번 시설의 가장 큰 특징은 화학테러 대응기관의 역할을 고려한 기획 연구개발로 최대 6인의 다중협업 훈련이 가능하고, 돌발 상황(부비트랩, 드럼폭탄 등)을 재현해 실제 테러 상황을 고려한 훈련도 가능하도록 했다.
아울러 실제와 같은 현장 상황을 구현하기 위해 화학테러 시 발생할 수 있는 유독물질 확산, 폭발음, 화재 등을 복합적인 가상 상황으로 구현해 실제 테러 발생 현장처럼 현실감을 높였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테러 대응 훈련시설에 도입된 다중 협업 가상현실 시스템·화학물질처리 시스템·돌발훈련용 시스템 등 세부 기술을 5월 중에 특허 출원할 예정이고, 이 기술이 필요한 기관에 공유해 활용도를 넓힐 예정이다.
신창현 화학물질안전원 교육훈련혁신팀장은 “이번 화학테러 대응 합동 훈련시설 개발로 화학사고 대응뿐만 아니라 화학테러 대응 훈련도 가능해 화학물질안전원이 명실상부한 화학안전 전문 교육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앞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해 학생 등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해 화학물질 대피 체험 훈련 과정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