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연연구소(명예금연홍보대사, 국회의원 권영길, 정의화, 조경태)는 “아직도 국민에게 담배를 팔아 돈을 벌겠다는 후진국적 의식을 가진 CEO가 줄줄이 담배공장 허가에 매진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의식변화가 빠진 금연운동은 허구에 불과 하다. 담배가 마약이라는 공식선언과 함께 독극물 제조공장을 계속 허가하는 정부에 대국민 사과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최창목 소장은 “지금의 흡연환경 틀에서는 정부나 지방자치가 열심히 금연정책을 추진한다고 해도 년간 담배판매수요를 절대 줄일 수 없다”면서 시급한 열가지 현실적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또 최 소장은 “우리나라 금연운동에 있어 가장 큰 병폐는 정부가 금연을 다잡는 핵심정책을 강력히 실행해도 담배판매량을 줄이기가 힘들 상황에, 혹시 담배세수가 고갈되지 않을까란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며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다음은 한금연에서 담배판매량을 줄일 수 있는 10가지 정책제언이다.
1. 정부는 담배를 마약으로 당장 선포하라.
2. 모든 금연공익광고는 '담배는 절대 피워서는 안될 독이던 마약'이라는데 초점을 맞춰라.
3. 50인 이상 관공서를 포함한 모든 사업장에 년 2회 이상 반드시 금연교육을 받도록 국민건강증진법을 개정하라.
4. 교원을 포함한 모든 청소년선도 및 육성관련업 종사자는 입사조건에 절대 금연을 원칙으로 명문화 하라.
5. 4급이상 국가 공무원 및 그에 준한 대우를 받고있는 공기업 관련자 등은 인사때 절대 금연을 원칙으로 명문화하라.
6. 전국보건소의 금연클리닉사업에 청소년을 포함시켜라. 또한 현 6계월의 관리기간을 3년으로 늘리면서 금연보조제 지급을 중지하고 의식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교육에 적용하라.
7. 신제품 담배출시 가격공고기사를 모든 언론매체(신문, 잡지 등)에 전면 금지시켜라.
8. 담배소매점(편의점)내 담배진열 및 담배광고 설치물을 전면 철거시켜라.
9. 각 시도에 한시적으로 청소년, 여성 및 남성 금연시도자를 위한 흡연예방 견학을 위한 종합흡연예방 금연센터를 만들어라.
10. 금연건물 및 금연장소에서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흡연은 반드시 엄벌하라.
[길민권 기자(reporter21@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