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충북도]
본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기 개발한 제조로봇 표준공정모델(37개)을 지역 특화업종에 개량 및 최적화해 공정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역의 수요기업에 실증하는 사업이다.
충청북도와 충북테크노파크는 총 사업비 50억원(국비 29억원, 지방비 12.6억원, 기업 부담 8.4억원)을 투입해 도내(청주, 충주, 제천, 음성, 진천, 옥천) 21개 수요기업에 적용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 내용으로는 도내 화장품 및 식가공 업종의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제조로봇을 활용한 플러스 공정모델을 개발·적용 △최적 공정 설계를 위한 컨설팅 △공정모델 실증 △제조로봇 공정용 GMP 및 HACCP 인증 △협동로봇 안전인증 컨설팅 등을 통합 지원하게 된다.
충북도와 충북테크노파크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전자부품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로봇 관련 진흥기관, 로봇 제조기업 및 로봇 SI 솔루션 기업들과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장기적인 충청북도 로봇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로봇산업 관련 각종 대형 국비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등 도내 지식 기반 고부가가치 첨단 로봇융합산업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사회로의 진입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로봇의 도내 산업 생태계 구축과 응용 및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제조로봇에서 한층 더 나아가 공공 서비스 로봇 등 추진사업의 범위를 점차 넓히고자 한다”며, “금번 제조로봇 플러스사업 추진을 시작으로, 도내 제조기업의 혁신과 고령화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역 산업 육성 지원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