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각 부처에 이메일 해킹 주의보 경고 지침전달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지 한달이 지난 시점에서 청와대와 각 부처의 고위 공직자 이메일 해킹 시도가 적발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일어나 정부가 술렁이고 있다. 세계일보에서 단독보도한 기사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의 장·차관, 실·국장 등 고위 공직자의 이메일을 겨냥한 해킹이 시도된 사례가 적발됐다고 밝혔다.
세계일보는 “해킹 이메일은 중국 등 국내가 아닌 제3국에서 한글로 작성돼 유입됐으며 고위 공직자의 이메일을 통해 궁극적으로 정부 전산망을 해킹하려고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국가정보원은 1일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 각 부처 인사과에 ‘해킹 이메일을 열리 말라’는 제목으로 고위 공직자의 이메일 해킹을 경고하는 내용이 담긴 긴급 지침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해킹 사건은 그동안 정부 등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발생한 사례는 있었지만 고위 공직자의 이메일 해킹이 시도된 것은 처음이어서 어느 정도 정보가 유출됐는지는 정확한 조사가 끝나야 알 수 있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정부 전산망 해킹을 시도한데 대해 일부에서는 공공기관의 보안시스템은 강화된 반면 개인 이메일 등은 여전히 허술하기 때문에 발생된 사건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더구나 궁극적으로 이메일을 통해 정부 전산망을 마비시킬 수 있다는 전제가 깔린다면 단순히 넘어갈 사항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보안에 대한 관심이 하락하고 있는 시점에 발생한 사건인 만큼 업계에서는 이번 해킹사건이 업계 전반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될 것이라는 기대도 갖고 있다.
한 보안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많은 해킹 시도가 있었지만 정부에서는 사건이 발생됐을 때만 조치를 취하는 소극적 행동을 해왔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의 개인정보보호 등 관심과 과감한 예산 투입이 이뤄져 국가차원의 보안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이 어느정도 규모인지는 정확하게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조기에 대응했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우려하는 만큼 전산망에 대한 보안상 결함이나 해킹의 흔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배군득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