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방통위와 금융위, 금감원, 경찰청은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이동통신 3사(SKT, KT, LGU+) 및 37개 알뜰통신사업자와 협력해 지난 16일부터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이미지=iclickart]
보이스피싱 피해는 성별·연령·지역을 구별하지 않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누구라도 피해자가 될 수 있음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최근에는 전화가로채기 앱 또는 원격조종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해 피해자가 국가기관 또는 금융회사에 확인하는 전화도 가로채는 수법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절대 설치해서는 안 된다.
또한 112(경찰), 02-1332(금감원) 등의 번호로 발신되는 전화라 하더라도 이는 발신 전화번호를 변경 조작한 보이스피싱 사기전화일 수 있으므로 일절 응답하지 말아야 한다. 검찰·경찰·금감원·금융회사 등은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로 계좌번호를 알려주며 돈을 이체하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돈을 보내라는 낯선 전화는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 일단 ‘전화를 끊고!’, 반드시 해당기관에 ‘확인하고’를 유념해야 한다. 만일 보이스피싱 사기로 인해 돈을 송금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경찰청(112), 해당 금융회사로 지급정지를 신청하면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
한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는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한 공익광고를 제작해 지난 16일부터 1개월간 TV·라디오,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방영함으로써 국민들의 경각심을 높여 피해를 방지한다. 아울러 금융위·금감원은 금융업권과 협조해 창구 TV, 인터넷 홈페이지, 옥외전광판, SNS 등에 지속적으로 방영한다. 경찰청도 금융권, 지자체, 소관기관 등과 협조해 지속 방영을 추진한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