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ected Products’ 통해 취약한 제품 확인하고 보안패치 적용해야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시스코의 제품 내에서 권한 상승 취약점을 비롯해 서비스 거부, 원격 코드 실행 등 취약점이 대거 발견됐다.

[이미지=시스코 홈페이지]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다음과 같으며, 공격자가 해당 취약점을 이용해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시스코 제품 사용자들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Cisco Aironet 1800, 2800 및 3800 시리즈의 Secure Shell(SSH)에서 기본 계정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8-0226)
△Cisco Aironet 1810, 1830 및 1850 시리즈의 Point-to-Point Protocol(PPTP)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8-0234)
△Cisco Wireless LAN Controller(WLC)의 802.11 프레임의 유효성 검사 기능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8-0235)
△Cisco Wireless LAN Controller 소프트웨어의 IPv4 패킷을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8-0252)
△ Cisco Secure Access Control System(ACS)의 리포트 구성에서 발생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0253)
△Cisco Prime File Upload 서블릿에서 발생하는 경로 탐색 및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0258)
△Cisco Meeting Server에서 발생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0262)
△Cisco WebEx 네트워크 레코딩 플레이어에서 사용 중인 Advanced Recording Format(ARF)에서 발생하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8-0264)이다.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시스템은 참고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는 ‘Affected Products’을 통해 취약한 제품을 확인하고, 취약점이 발생한 시스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시스코 장비의 운영자는 해당 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는 ‘Affected Products’ 내용을 확인해 패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국번없이 118)에 문의하면 된다.
[참고사이트]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aironet-ssh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ap-ptp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wlc-mfdos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wlc-ip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acs1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prime-upload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cms-cx
https://tools.cisco.com/security/center/content/CiscoSecurityAdvisory/cisco-sa-20180502-war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