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안뉴스 김경애] 지난 3월 31일 최초 발생한 GPS 전파교란 이후 2일 오후 3시 기준으로 항공의 경우 총 357대, 선박 총 470척, 통신 총 670개소의 기지국에서 교란신호가 유입됐다. 다행히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미래부는 2일 “최초 발생 이후 지금까지 총 5개소에서 전파교란과 중지를 반복하고 있다”며 “교란신호 발신원 위치는 해주, 연안, 평강, 금강산, 개성 인근이며, 2일 오전 10시 58분부터 개성지역에서 교란신호가 추가로 발사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영향을 미치는 지역은 인천, 경기, 강원 일부이며, 교란신호 세기는 최초 발생한 수준(70∼90dBm)에서 유지하고 있다. 다행히 특별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 1일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대응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북한이 그동안 핵·미사일 관련 도발을 지속해온 데 이어 이번에 GPS 전파 교란을 초래하는 도발행위를 한 것은, 관련 국제협약을 위반하고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하고도 무모한 행위로서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국방부는 북한의 GPS 교란 관련 대북 경고성명을 통해 “북한은 지난 3월 31일 저녁 7시 30분경부터 군사분계선(MDL) 북방 해주, 연안, 평강, 금강 등 4개 지역에서 민간교통안전 등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군사작전을 방해하는 GPS 전파교란행위를 지속적으로 감행하고 있다”며 “북한의 교란행위는 ‘정전협정’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규정 등을 위반한 명백한 도발행위로서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국방부는 “정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GPS 전파교란행위를 지속한다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북한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