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의 치안 분야 적용과 미래치안 추진전략 논의
인공지능(AI) 보디캠, 신속 마약 검출 기법 등 기획과제 소개 및 산학연 전문가 참여 토론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은 8월 13일 경찰청 어울림마당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인공지능(AI) 반도체 기반 미래치안혁신기술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활용한 치안 분야 기획과제 [자료: 경찰청]
이번 토론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위사업청, 치안정책연구소 등 관계부처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주요 전문기관은 물론, 관련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도 참여해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의 치안 분야 적용과 앞으로의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경찰청은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가 미래기술혁신의 핵심 요소로 부상함에 따라, 지난 5월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치안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기술 개발과 과제 도출을 목표로 내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치안 인공지능(AI) 반도체 실무단’을 출범시켰다.
90일간 10차례의 현장 경찰관과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전문가가 참여한 회의를 통해 총 7개의 현장 수요 기반 과제를 도출했는데, 각 과제는 인공지능(AI) 반도체의 고속 연산, 저전력 처리, 실시간 분석 기능을 활용해 치안 현장의 대응 역량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토론회에는 각 부처 관계자와 산·학·연 전문가 60여명이 참석해 인공지능 반도체의 국내외 기술 동향과 활용 사례를 공유했고, 2부 패널토론에서는 실무단 회의를 통해 도출한 7가지 기획과제의 소개가 이어졌다.
특히, 패널토론에서 전문가들이 발표한 △인공지능(AI) 치안 보디캠ㆍ스마트 글라스 △인공지능(AI) 신속 마약 검출 꾸러미에 현장 경찰관들의 높은 관심이 집중됐으며, 실제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깊이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인공지능(AI) 신속 마약검출 꾸러미’는 마약성분 검출 알고리즘이 내장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기이며, ‘인공지능(AI) 바디캠‧스마트 글라스’는 영상ㆍ통신 보안 기능을 탑재한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위험 발생 상황을 인지 후 현장 증거 수집 및 실시간 분석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오늘 토론회를 계기로, 치안 현장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반 기술 전략 수립과 실증 중심의 과제 발굴을 본격화하겠다. 미래 치안혁신 기술의 도입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경찰청 차원의 중장기 전략 수립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도 “인공지능(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국가 안보와 경제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전략기술이다. 국민 체감도가 높은 치안 분야에 특화된 맞춤형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